“내고장 환경은 내가 지킨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환경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나아가 정부의 무분별한 개발정책을 바꿔나가겠다는 환경단체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기지역의 경우 자연과 대규모 주거단지, 공단이 공존하는 곳이어서 환경단체들의 역할이 가장 중요할 뿐 아니라 역설적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다.
 실제로 경기지역 환경단체들의 '힘'은 한미간 SOFA(한미주둔군지위협정) 개정같은 국가적 사안부터 시화호 담수화 포기, 남한강정비사업 보류처럼 굵직굵직한 국가·지자체 사업의 수정을 가져왔다.
 불과 5~6년전만 해도 님비현상(NIMBY·지역이기주의)으로 치부되던 활동들이 거대한 '피플파워'로 발전한 것이다.
 ◇SOFA내 환경조항 신설=지난해 화성군 매향리 미군사격장 오폭과 한강 독극물 방류, 평택 폐수방류사건이 잇따라 터지면서 미군의 환경오염문제가 수면위로 떠올랐다.
 당시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에는 환경문제에 관한 한마디의 언급도 없는 실정이었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할 근거조차 없었다.
 이에 전국의 시민·환경단체들이 불평등한 SOFA개정을 주장했고 경기지역 8개 시·군 조직으로 이루어진 경기환경연합은 미군기지 주변의 환경을 직접 조사해 심각한 오염실태를 고발하는 등 SOFA개정운동을 주도했다.
 이런 노력은 지난 1월 SOFA개정안에 '환경보호에 관한 특별양해각서'를 포함시키는 성과로 나타났다.
 ◇시화호 담수화 포기=실패한 국책사업의 상징으로 지적되는 시화호사업이 애초에 계획됐던 담수화를 포기하기까지는 그린스카우트 등 안산지역 환경단체들의 끈질긴 문제제기와 반대운동 덕택이다.
 이들 단체들은 지난 84년부터 모두 1조5천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돈을 투입했지만 실제 주민들에게 돌아온것은 썩은 시화호와 숨쉬기조차 어려운 매연뿐이라며 10여년동안 줄기차게 담수화 반대를 주장해왔다. 그 결과 해수화가 시작된 지난 98년 이후 시화호 개펄은 살아나기 시작했고 떠나갔던 철새가 무리지어 돌아오는 등 죽음의 호수가 오히려 생태호수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남한강정비사업 보류=이천·여주환경운동연합은 남한강정비사업에 대한 3년여의 오랜 반대운동을 펼친 결과 지난 1월 4일 경기도로부터 전면보류 결정을 얻어냈다. 하지만 과정은 그리 순탄치 않았다. 처음에는 지역주민들의 참여도 적었고 수해방지를 위해 정비사업이 시급하다는 지자체의 논리도 뒤집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
 이를 위해 지난해에만 10여차례의 반대집회와 주민들의 지지서명을 받아냈으며 반박자료 마련을 위해 전문가들과 함께 남한강 생태조사를 실시, 도의 개발논리를 무색케 했다.
 ◇환경운동의 방향=현재 경기지역에서 활동중인 환경관련단체는 약 170개, 회원수는 14만여명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단체가 재정난과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 이때문에 최근 환경운동의 추세는 기존의 정책개선에서 벗어나 주민참여와 교육위주로 변하고 있다. 실제로 경기환경운동연합과 안산그린스카우트 등 대부분의 환경단체들은 올해 학부모 환경학교와 지역토론회, 어린이 환경탐사대 등을 실시해 진정한 시민운동으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이다.
 경기환경운동연합 장동빈간사는 “SOFA협정만 해도 환경에 대한 조항만 신설됐을 뿐 우리 정부의 실질적인 단속권은 없는 실정”이라며 “경기지역의 환경문제를 풀어나가려면 주민들의 참여와 지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李星昊기자·starsk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