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고장 환경은 내가 지킨다.”
 지역의 환경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나아가 정부의 무분별한 개발정책에 일침을 놓겠다는 환경단체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기지역의 경우 녹지와 주거단지, 공단이 함께하는 구조적 특성때문에 환경오염의 폐해가 가장 심각한 곳으로 부각되면서 역설적으로 환경운동이 더욱 '힘'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경기지역 환경단체들의 '힘'은 SOFA(한미주둔군지위협정) 개정같은 국가적 사안부터 시화호 담수화 포기, 남한강 정비사업 보류처럼 굵직굵직한 국가·지자체 사업의 수정을 가져왔다.
 불과 5~6년전만 해도 님비(NIMBY·지역이기주의)현상로 치부되던 움직임들이 거대한 '피플파워'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SOFA 환경조항 신설=지난해 매향리 미군사격장 오폭과 한강 독극물 방류, 평택 폐수방류사건이 잇따라 터지면서 미군의 환경오염문제가 수면위로 떠올랐으나 불평등한 SOFA때문에 우리 정부는 제대로 항의조차 하지 못했다.
 그러나 경기환경연합을 비롯한 전국의 시민·환경단체들은 직접 미군기지 주변의 환경오염 실태를 조사하고 심각한 오염피해를 고발해 SOFA개정을 이끌어냈다.
 ◇시화호 담수화 포기=정부가 당초 계획했던 시화호 담수화를 포기하기까지는 그린스카우트 등 안산지역 환경단체들의 끈질긴 문제제기와 반대운동의 힘이 컸다.
 지난 84년부터 모두 1조5천억원의 천문학적인 돈이 투입된 시화호사업이 주민들에게 선물한 것은 숨쉬기조차 어려운 악취와 매연. 속았다고 생각한 주민들은 10여년 전부터 뜻을 모아 '계란으로 바위치기'를 시도했고 마침내 시화호 담수화라는 바위를 깨뜨렸다. 실제로 지난 98년 해수화가 실시된 시화호에는 떠나갔던 철새가 무리지어 돌아오는 등 죽음의 호수에서 생태호수로 변하고 있다.
 ◇남한강정비사업 보류=이천·여주환경운동연합은 남한강 정비사업에 대한 3년여의 오랜 반대운동을 펼친 결과 지난 1월 4일 경기도로부터 전면보류 결정을 얻어냈다. 하지만 과정은 그리 순탄치 않았다. 처음에는 지역주민들의 참여도 적었고 수해방지를 위해 정비사업이 시급하다는 지자체의 논리도 뒤집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
 이를 위해 지난해에만 10여차례의 반대집회와 주민들의 지지서명을 받아냈으며 반박자료 마련을 위해 전문가들과 함께 남한강 생태조사를 실시, 도의 개발논리를 무색케 했다.
 ◇환경운동의 방향=현재 경기지역에서 활동중인 환경관련단체는 약 170개. 회원수는 14만여명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단체가 재정난과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 이때문에 최근 환경운동의 추세는 기존의 정책개선운동에서 벗어나 주민참여와 교육위주로 변하고 있다. 실제로 경기환경운동연합과 안산그린스카우트 등 대부분의 환경단체들은 올해 학부모 환경학교와 지역토론회, 어린이 환경탐사대 등을 실시해 진정한 시민운동으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이다.
 경기환경운동연합 장동빈간사는 “SOFA만 해도 환경에 대한 조항만 신설됐을 뿐 우리 정부의 실질적인 단속권은 없는 실정”이라며 “경기지역의 환경문제를 풀어나가려면 주민들의 참여와 지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李星昊기자·starsk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