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형 사회적기업 지정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의 경쟁력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사회적기업의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으로 정책기조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픽 참조

■ 경쟁력이 핵심

인천형 사회적기업은 지난달 말 기준 75곳이 있다. 이들 대부분이 전체 종사자 10명 미만의 소규모 영세업체들이라는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시는 이 가운데 45% 정도가 청소, 위생, 문화기획 등의 업체라고 설명했다.

업체 규모도 작은데, 살아남기 위한 경쟁까지 치열해지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이들 사회적기업이 자생력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시가 이들을 위해 지원하는 경영지원 프로그램은 2개월 정도 진행되는 '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이 전부다.

이마저도 사회적기업은 무엇인지, 기업의 재무구조는 어떻게 만들어가야 하는지, 시의 지원 정책은 무엇인지 등 기초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정도다.

각 업체별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차별화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의 실질적인 컨설팅은 이뤄지지 않는다.

남구와 남동구가 운영하는 지원센터, 정부가 운영하는 인천 사회적기업 지원센터 등 일부에서만 개별적인 컨설팅이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을 뿐이다.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인천 사회적기업의 질적인 성장을 위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내년 '인천시 사회적경제 지원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는 "신규 사회적기업 지정심사에서도 사업의 공공성은 물론, 수익 가능성 등을 면밀히 따질 것"이라고 말했다.

■ 단편적 지원책 벗어나야

현재 시가 추진하고 있는 인천형 사회적기업 지정제도가 단편적인 일자리 확보 정책의 수단으로 그쳐선 안 된다는 지적이다.

양준호 인천대 사회적기업연구센터장은 "시가 추진하는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은 일자리 확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현재 상태에선 질 높은 일자리보단, 후진적인 일자리만 창출하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사회적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상품으로 수익을 얻고, 이 수익이 다시 사회로 환원되는 선순환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하운 시 경제정책자문관은 "시의 지원을 받는 사회적기업이라고 하더라도 결국 기업이기 때문에 수익성이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획일적인 지원에서 벗어나 이들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선택과 집중 전략을 적용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