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5년 동안(2008~2012년) '수면장애'로 인한 진료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22만 8천명에서 2012년 35만 7천명으로 최근 5년 동안 12만 9천명(1.57배), 연평균 11.9% 증가했다.
473명 수준이던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도 4년 새 1.52배인 719명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관련 진료비와 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한 급여 역시 1.81배(195억→353억원), 1.83배(137억→250억원)로 각각 불었다.
성별로는 여성 환자가 21만2천명으로 남성(14만5천명)의 1.46배였고, 연령별로는 50대가 7만5천명(21%)ㅡ 70대(19.1%)·60대(17.2%)·40대(15.2%) 등의 순이었다.
20대 2만1천864명(6.1%), 10대 이하 5천140명(1.4%) 등 젊은 환자들도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장애를 보다 세부적으로 보면,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불면증' 환자가 23만7천931명(66.7%)으로 가장 많았다.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상세불명수면장애'(8만4천287명), 수면 중 상기도가 막히는 '수면성 무호흡'(2만6천168명) 등이 뒤를 이었다.
수면장애 급증 원인은 비만인구의 증가, 급격한 환경의 변화, 스트레스 증가, 현대인의 과도한 업무에 따른 수면습관의 변화, 나쁜 수면위생(숙면을 위해 가져야 할 습관) 등이 일차적인 원인이며,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따른 수면구조의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수면장애 예방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과 식습관, 적정한 운동, 금연, 금주가 가장 기본적이다.
또한 낮잠을 30분 내외로 제한하고, 잠자리에 들기 4~6시간 전에 커피, 녹차와 같은 카페인이 들어간 음식을 제한하고 일요일에 늦잠을 자지 않고 평소와 같은 수면 시간을 유지 하는 등의 수면위생법 관리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