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난 교육당국 학교시설개선 사업은 손도 못대
체육인프라마저 부족 "시늉만 내다 그칠것" 우려
정부는 지난해부터 학생들의 체육활동 확대를 적극 추진중이다.
체육활동이 학생들에게 배려심과 협동심을 함양하는 등 바른 인성을 길러줄 수 있다는 효과 때문이다.
학교폭력·따돌림 등 최근의 학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 대책이라는 표현도 나온다.
체육 활성화의 주 방안은 체육수업시수 확대와 학교스포츠클럽 확대다.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과 체육교사 및 강사 확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정부의 구호와는 다르게 일선 학교에서는 이 같은 정책 수용에 대해 난감해 한다.
턱없이 부족한 학교체육의 인프라는 물론, 학생들을 가르칠 지도자 수급도 어렵기 때문이다.
교육부 및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월 학교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학교체육진흥법 시행에 따라 특별교부금을 교부했다.
도교육청이 교부받은 금액은 65억원. 이 같은 예산은 학교스포츠클럽의 전반적 운영과 강사비 사용 등을 위해 새로 편성된 예산이다.
도교육청은 이 예산을 통해 756개에 달하는 교육과정 외 스포츠클럽을 지원하고, 시범사업으로 진행되는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전담교사활동비도 지원해야 한다.
올해 현재 도내 중학교는 모두 599개. 도교육청은 교육부 지침에 따라 학교별로 1~2명씩 모두 1천여명의 강사를 지원중이다.
현재 도내 중학생은 46만4천여명에 달한다. 이를 599개교로 나눠보면, 학교당 학생수는 무려 774명에 이른다. 새로 투입된 1천여명의 강사 1인당 맡아야 하는 학생 수가 463명에 이르는 셈이다.
체육 인프라 역시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다.
종목의 다양화와 체육의 일상화를 위해서는 학교체육관 건립이 필요하지만, 다양한 무상교육 사업 등으로 재정난에 부딪힌 교육당국은, 이 같은 학교시설개선 사업에서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예산 대책 등이 부족한 현 정부의 학교체육 활성화 계획 역시 과거 정부 사례처럼 공염불로 끝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 내 활동으로 한정한 학교스포츠클럽을 지역사회 스포츠클럽과 연계·확대 운영하는 보완책을 마련했다"며 "지역의 공공·종합형 스포츠클럽활동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같이 생활기록부에 기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태성·황성규기자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