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에는 '도시농업과'가 없다. 국내 도시농업 육성을 위한 중단기 계획이 마련됐지만 정작 정부 조직에 전담부서가 없는 것이다.

지난 6월 정부의 제1차 도시농업육성 5개년 계획을 작성, 발표한 부서는 농림부 '종자생명산업과'였다. 종자생명산업과 11명의 직원 중 도시농업을 주 업무로 담당하는 직원은 단 한 명뿐이다.

그러나 경기도에 비하면 농림부의 사정은 나은 편이다. 도 본청 직원 2천300여명 중 도시농업을 전담하는 직원은 전무하다. 국내 도시농업 행정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 예다. 관련기사 3면

경기도 조직 안에서 도시농업 업무를 담당하는 곳은 산하기관인 '경기농림진흥재단'과 직속기관인 '경기도 농업기술원' 등 2곳이다.

문제는 도에 이들을 조율할 전담인력(조직)이 없는 상황에서 두 기관이 시민을 대상으로 비슷한 취지의 핵심 교육 프로그램을 제각각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농림재단에서는 '도시농부학교'로, 도 농기원에서는 '마스터가드너'로 불린다. 물론 세부적인 교육 과정은 차이가 있지만 도시농업의 저변 확대, 도심 속 농업활동을 통한 공동체 의식의 회복 등 기대효과는 동일하다.

전문가들은 도 농기원의 경우 도시농업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작물과 퇴비, 기술 등의 개발분야에 집중하고, 농림재단은 도시농업 저변을 확대할 교육과 행사분야 등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 도시농업 인구가 늘어 행정 서비스가 확대됐을 때를 대비한 경기도의회 상임위원회 배정도 애매하다.

도시농업의 주 무대가 도심지역인 만큼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에서 맡아야 한다는 의견과, 텃밭에서 농작물을 일구는 경작행위인 만큼 '농림수산위원회'에 배정돼야 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양근서(민·안산6) 경기도의원은 "경기도 본청에 도시농업을 전담할 직원 한 명 없는 게 경기도 도시농업의 현실"이라며 "도시농업의 긍정효과가 이어지면서 흙을 만지는 시민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업무영역 등을 명확히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