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정부의 제1차 도시농업육성 5개년 계획을 작성, 발표한 부서는 농림부 '종자생명산업과'였다. 종자생명산업과 11명의 직원 중 도시농업을 주 업무로 담당하는 직원은 단 한 명뿐이다.
그러나 경기도에 비하면 농림부의 사정은 나은 편이다. 도 본청 직원 2천300여명 중 도시농업을 전담하는 직원은 전무하다. 국내 도시농업 행정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 예다. 관련기사 3면
경기도 조직 안에서 도시농업 업무를 담당하는 곳은 산하기관인 '경기농림진흥재단'과 직속기관인 '경기도 농업기술원' 등 2곳이다.
문제는 도에 이들을 조율할 전담인력(조직)이 없는 상황에서 두 기관이 시민을 대상으로 비슷한 취지의 핵심 교육 프로그램을 제각각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농림재단에서는 '도시농부학교'로, 도 농기원에서는 '마스터가드너'로 불린다. 물론 세부적인 교육 과정은 차이가 있지만 도시농업의 저변 확대, 도심 속 농업활동을 통한 공동체 의식의 회복 등 기대효과는 동일하다.
전문가들은 도 농기원의 경우 도시농업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작물과 퇴비, 기술 등의 개발분야에 집중하고, 농림재단은 도시농업 저변을 확대할 교육과 행사분야 등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 도시농업 인구가 늘어 행정 서비스가 확대됐을 때를 대비한 경기도의회 상임위원회 배정도 애매하다.
도시농업의 주 무대가 도심지역인 만큼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에서 맡아야 한다는 의견과, 텃밭에서 농작물을 일구는 경작행위인 만큼 '농림수산위원회'에 배정돼야 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양근서(민·안산6) 경기도의원은 "경기도 본청에 도시농업을 전담할 직원 한 명 없는 게 경기도 도시농업의 현실"이라며 "도시농업의 긍정효과가 이어지면서 흙을 만지는 시민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업무영역 등을 명확히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