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차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키로 한 경기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예비심사의 잇따른 파행으로 첫날부터 열리지 못하게 됐다.

이대로라면 9월 추경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공감대가 도와 도의회에 형성된 가운데, 양 기관이 '최후 협상' 가능성을 내비치며 심의 재개 여부에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8일 도의회 민주당은 도에 재정위기에 대한 공개토론을 제안했다.

민주당에서 재정난 초래에 대한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사과와 수정예산안 제출을 요구했지만, 도가 묵묵부답인 채 복지비 증가 등 외부 환경만 탓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도 안팎에서도 예산 심의와 관련, 어떠한 형태로든 결론을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우세하다.

도 관계자는 "임시회 일정이 13일에 마무리되는데, 그 안에 민주당과 결론을 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지사가 의장과 양당 대표 앞에서 책임을 통감한다고까지 한 상황에서 어느 수준의 사과를 요구하는 건지, 예산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수정하길 바라는지 등을 확실히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양 기관이 '최후 협상' 가능성을 내비친 데엔, 이대로라면 13일 마무리되는 제281회 임시회에서의 추경안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당초 9일에는 각 상임위원회에서 예비심사를 마친 추경안이 예결위에 회부돼 본격적인 심의가 시작돼야 하지만 예비심사가 모두 파행되며 추경안이 회부되지 못해, 자연히 예결위도 열리지 못하게 됐다.

도의회 관계자는 "절차상으로는 상임위 예비심사를 생략해도 되지만 협의체인 의회의 본질과는 맞지 않는 만큼 양 기관이 협상의 물꼬를 트는 것이 우선"이라며 "그 다음에 회기 연장이든, 새 임시회를 열든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