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브뤼셀에는 유럽연합과 유럽의회를 중심으로 2천여 개의 크고 작은 국제기구들이 몰려 있고, 스위스 제네바의 경우 유엔 유럽본부를 비롯해 세계보건기구(WHO), 국제노동기구(ILO) 등 200개가 넘는 기구들이 밀집돼 있다.
독일 본 또한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전 세계 환경관련 어젠다를 이끌어가는 주요 국제기구 20개가 있다.
이런 국제기구들은 도시를 발전시켜 나가는 하나의 원동력으로 작용했고, 도시 브랜드를 높이는 견인차 역할을 했다.
매년 수천 건씩 개최되는 국제회의와 이에 따른 숙박·관광업 등 도시경제의 50% 이상을 이들 국제기구가 담당하고 있다고 현지 전문가들은 말한다. 국제기구가 도시 전체를 먹여 살리는 셈이다.
지난해 녹색기후기금(GCF) 본부를 유치한 인천은 이런 유럽의 국제도시들을 모델로 해, 도시 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기 위한 구상에 골몰하고 있다.
대부분 연락사무소 개념으로 평균 상주 근무인원이 10명 안팎에 지나지 않는다. 유럽 국제도시들의 그것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수준이다.
그러나 독일 본과 벨기에 브뤼셀 등 유럽 주요 도시들도 처음부터 국제도시로서 명성을 날린 것은 아니다.
독일 본(옛 서독의 수도)은 통일 이후 수도 이전(베를린)으로 인한 도심 공동화를 막기 위해, 중·화학 공업이 경제 근간이었던 벨기에 브뤼셀은 산업구조 재편을 위해 전략적으로 국제기구 유치에 뛰어들었다.
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파격적인 인센티브와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외국인들을 대하는 시민의식 등은 이들 도시가 국제도시로 거듭날 수 있는 주요 원인이 됐다. '도시 생존'을 위해 수십 년 동안 국가가 나서 진행해 온 일종의 투자인 것이다.
경인일보는 지난 7월29일부터 5박6일간 유럽의 국제도시 3곳(독일 본, 벨기에 브뤼셀, 스위스 제네바)을 돌아보며 이들 도시의 국제기구 유치 과정과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집중 취재했다.
벨기에 브뤼셀/김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