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전문직 종사 5%미만
노후생활 질적 하락 초래
적성에 맞는 일자리 갈망
수원시환경사업소에서 공공 근로자로 일하고 있는 이종석(65·수원시 팔달구)씨.
국내 굴지의 자동차 회사에서 엔진의 정밀도를 측정하는 시험관이었지만 1997년말 IMF 금융위기로 실직한 뒤 기름때 묻은 기술과 전문기술인으로서의 자부심은 액자 속 사진처럼 그저 추억이 돼버렸다.
실직한 뒤 그가 할 수 있었던 일은 그의 기술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경비직이었다. 그나마도 나이가 들어 체력적으로 힘들어지게 되면서 결국 의존할 곳은 국가에서 내어주는 공공근로 뿐이었다.
이씨는 "당시 중소기업에 취직하려 애써봤지만 내 손에 익은 기술은 보지않고 나이가 많다며 써주는 곳이 없었다"고 말했다.
퇴직 후 생계를 위해 일자리를 찾는 노인들이 구할 수 있는 일이 사실상 단순노무직으로 제한돼 노후생활의 질적 하락을 초래하고 있다.
2011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경제활동참가율(29.6%)은 일본보다 10%p 높고 OECD 국가들 중 아이슬란드에 이어 2번째로 높다.
하지만 지난 5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들 65세 이상 고령 취업자의 35.11%가 농림어업에, 34.51%가 단순노무에 종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종사자는 100명 중 2명꼴도 되지 않고 관리직·전문직에 취업한 노인도 100명 중 5명이 채 되지 않는다. 대부분 민간 일자리인 서비스와 판매직으로 이마저도 100명중 14명도 채 안된다.
이같은 내용은 보건복지부의 노인일자리 사업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공익·복지·교육(공공분야)과 인력파견·시장·창업모델형(민간분야) 등이 있지만 지난 2009년 전체 사업의 84%를 차지한 공공분야는 지역 공공기관 및 공원 청결, 주차관리, 숲해설 사업이 대부분이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올해 수도권 50대 회사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상자들은 퇴직 후 구직 활동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희망 취업직종 부족'(31.8%)과 '나이제한'(28.8%)을 우선적으로 꼽았고 '낮은 임금수준'(18.4%)은 그 다음으로 선택하는 등 많은 은퇴자들은 그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갈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순정·공지영기자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