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6년 4월 17일 김포대교에서 고양시, 파주시를 거쳐 인천시 강화군 송해면에 이르는 60.668㎢를 습지로 지정한 환경부는 한강 하구 일부를 람사르 습지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비무장지역 일대와 연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수도권에 인접한 세계적인 철새도래지로서 생태관광 명소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현실은 환경부 계획에 의문을 갖게 하고 있다. 불법 물류창고와 아파트, 도로 건설 등으로 주변 논이 매립돼 습지 생태계가 단절될 위기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습지보호구역 지정만 해놓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후속 관리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회에 걸쳐 한강 하구 습지보호구역을 진단해 본다. ┃편집자 주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하면 자연이 잘 보전될 것으로 보지만 현실은 보호구역으로 지정만 했을뿐 사후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한강 하구 주변의 논이 무차별적으로 매립되고 있다.
습지와 논은 상관없이 보이지만 사실은 다르다. 논의 경우 새는 물론 어류, 양서류, 곤충의 서식지이자 홍수조절, 토양유실방지, 수질정화, 온도조절 등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물새류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 하구의 특성상 논은 홍수예방 효과도 있어 사람의 생명을 보호하고 있다.
농업중에서도 논농사는 자연을 닮은 최고의 생태적인 농업행위다. 한강 하구의 논은 습지 대체, 또는 습지보호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
현재 한강 하구에 위치한 김포시 하성면 시암리, 후평리, 석탄리 농경지는 그나마 훼손되지 않아 한강 하구 습지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얼마나 중요한 생태적 기능을 하고 있는지 아무도 몰라준다. 이로 인해 이 곳의 농경지들도 언제 훼손될지 모르는 상황에 처한 상태다.
버드나무 군락이 70%를 차지해 육지로 바뀌고 있는 장항 습지는 접근성이 용이하고 관리가 수월해 한강 하구의 상징적인 습지역할을 한다.
그러나 장항습지를 잘 지킨다고 한강 하구의 습지를 제대로 관리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착각이다. 한강 하구의 시암리 습지, 산남 습지를 아우르는 관리방안 계획이 없기때문이다.
시암리 습지는 한강 하구 습지 가운데 최대 규모로, 기수지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의 관문이다.
서해 바다와 예성강, 임진강, 한강이 만나는 역동적인 환경을 지니고 삼각주가 형성돼 있어 한강생태계에서 핵심적인 곳이지만 정밀한 생태 조사 및 관리계획은 전무하다.
지금이라고 시암리 습지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등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당사자들이 습지보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해 줘야 한다.
습지보전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농경지를 이용하도록 하고 지역 농민의 소득을 증대하는 방안을 마련, 핵심 습지의 보전과 지속성을 유지하는 방안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윤순영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