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법외 노조' 통보와 관련해 전교조 활동이 위축될 것이란 전망과 달리, 경기·인천지역에선 오히려 신규 조합원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교조의 내부결속과 함께 정부 방침에 반대하는 젊은 교사들의 '힘 모으기'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30일 전교조에 따르면 전교조 경기지부의 경우 지난 9월 23일 정부의 법외 노조 통보 이후 36명의 조합원이 늘었다.

인천지부 역시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10여명씩 꾸준히 감소하던 조합원 수가 이달에만 15명이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는 130여명 이상의 조합원 수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법적 노조자격을 상실할 경우 조합비 급여 공제가 중단돼 조합 이탈이 늘어날 것이라는 당초 분석과는 반대되는 현상이다.

최근 조합원에 가입한 인천의 고교 교사 A(34·여)씨는 "학생들의 인권보다는 교권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에 그동안 전교조에 가입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지금은 정부가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으면서까지 무리한 정책을 펴는 데 반감이 생겼고 이를 보고 힘을 보태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했다.

전교조측은 이 같은 현상을 고무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강훈 전교조 인천지부 정책실장은 "전교조를 탄압하는 현 정부에 대항하려면 뭉쳐서 힘을 모아야 한다는 정서가 반영된 현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영 전교조 경기지부장도 "휴직중인 여교사들이 전교조 탄압에 공감대를 나누며 대거 신규 조합원으로 가입했다"며 "전교조가 위축되면 교사 전체의 입지가 흔들린다는 위기의식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김태성·김성호·황성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