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수에서 한 골, 무비자 입국 등 일본정부의 강력한 관광 정책에 또 한 골, 엔저(低)에 따른 일본 관광상품 가격인하에 마지막 한 골을 먹었다.
여기에 중국의 새로운 여유법(旅遊法·관광법)시행으로 받은 한국의 타격은 고스란히 일본의 반사이익으로 이어지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우리 정부와 경기도, 인천시 등 지자체들은 사실상 강건너 불구경이다. '관광 한일전'의 현 상황과 문제점·역전 전략 등을 긴급진단한다. ┃편집자주
12일 오전 경기도내 대표 관광지인 파주 임진각. 과거 내외국인 관광객으로 북적거리던 이 곳은 뚝 떨어진 초겨울 날씨만큼이나 관광객의 발길이 끊겨 있었다.
휴전협정 이후 한국군 포로들이 귀환한 '자유의 다리', 전쟁 당시 파괴된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실향민을 위한 '망배단' 등 세계 유일의 분단 콘텐츠를 갖춘 곳이지만, 국내 관광객 몇몇만 간간이 눈에 띌 뿐 철시한 장터를 연상케 할만큼 썰렁했다. 지난달부터 시행된 여유법(旅遊法)의 여파가 현실화된 것이다. ┃관련기사 3면
이곳에서 매점을 운영 중인 김모(46)씨는 "중국인들의 발길이 뜸해지면서 매출이 적어도 30%이상 줄었다"며 "11월이 비수기라고는 하지만 이정도까지는 아니었는데 걱정이 태산"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북부 뷰티체험관, 에버랜드와 한국민속촌 등 다른 관광지들도 중국인 등 외국 관광객 숫자가 급감하기는 마찬가지다.
줄어든 관광객의 발길은 지역경제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월매출 1억원 이상을 기록하던 인천시내 외국인 전용 기념품점 일부가 문을 닫았고, 인천 연안부두 인근 중저가 숙박업소들은 매출하락을 호소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일본정부가 원전사태 이후 외국 관광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대대적 공세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를 찾던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관광객들이 일본으로 발길을 돌린 직접적 이유이기도 하다.
경기관광공사 관계자는 "동남아 관광업계는 '지금이 일본을 방문할 호기'라며 관광객을 나르고 있는 반면, 국내 사정은 말그대로 사면초가"라고 말했다.
/이현준·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