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동남아 관광객들의 문턱을 낮춘다며 일찌감치 '무비자 정책'을 시행 중이지만, 우리 정부의 비자 정책은 여전히 엄격하기만 하다.
또 일본 자치단체들이 관광상품 가격을 낮출 수 있도록 여행사에 각종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있는 반면, 경기·인천은 이같은 정책이 전무하거나 그나마 있던 정책도 당장 중단될 위기다.
일본은 전원이 최전방 공격수로 뛰고 있는데 한국은 한가롭게 하프타임을 즐기고(?) 있는 꼴이다. ┃관련기사 3면
일본 외무성은 지난 7월부터 15일 이하로 일본에 머무는 태국인과 90일 이하로 체류하는 말레이시아인의 경우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다.
단수비자를 발급해주던 베트남·필리핀인의 경우도 3년안에 언제든지 일본을 재방문할 수 있는 복수 비자를 발급해 주고 있다.
무비자 정책은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관광객이 급감한데 따른 조치다.
반면, 우리 정부는 아직까지 엄격한 비자발급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1회 방문한 경험이 있는 동남아시아인에게 유효기간 1년의 복수비자를, 2회 이상 방문한 경우는 유효기간 3년의 복수비자를 각각 발급해주는 게 거의 유일한 혜택이다.
양국간 관광 정책의 차이는 자치단체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우리나라 도(道)단위 행정조직에 해당하는 일본내 현(縣)의 경우 여행사들이 여행상품 가격을 낮출 수 있도록 숙박비 일부 등을 지원해주고 있지만, 경기도는 이같은 직접적 지원정책을 외면하고 있다. 고작 현지 여행사를 초청해 벌이는 답사, 홍보자료 배포 등이 도의 외국관광 지원책의 전부다.
그나마 인천시는 국내 여행사를 통해 들어온 중국인 관광객이 인천지역 숙박시설을 이용할 경우 한 사람당 2천~8천원씩의 인센티브를 지급해왔지만, 예산이 바닥을 드러내면서 올 4분기는 당장 지원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동남아시아인을 상대로 한 방일 패키지 관광의 경우 3~7일 일정상품이 대부분인데 무비자 정책 시행 이후 입국이 훨씬 더 쉬워졌다고 보면 된다"며 "우리나라는 불법체류 등에 대한 우려 때문인지 상대적으로 입국절차가 훨씬 까다롭다"고 말했다.
/이현준·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