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전국단위 선거인 제6회 지방선거가 4일로 꼭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내년 6월 4일 치러지는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세종자치특별시장을 포함한 광역단체장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761명(세종시의원 13명 별도), 기초의원 2천888명, 시·도교육감 17명을 동시에 선출한다.

이번 지방선거는 정치적으로 박근혜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을 띠게 될 가능성이 커 선거결과가 집권 2년차 국정운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이 승리하면 박 대통령은 행정·의회 권력에 이어 지방 패권까지 장악하면서 집권 중반을 순조롭게 이끌어갈 발판을 마련하게 되지만, 반대로 야권이 이기면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상당한 부담이 가해질 것으로 점쳐진다.

지방선거 결과는 나아가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을 바라보는 민심의 가늠자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여야는 모두 사활을 건 대결에 나설 태세다.

새누리당은 지난해 총선과 대선에서 연승한 기세를 몰아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완승을 거둬 안정적인 국정운영 기반을 다진다는 방침이다.

새누리당은 특히 민생살리기의 성패가 판세를 가를 것으로 보고 민생공약 이행, 경제살리기, 일자리 창출 등에 총력을 기울일 테세다.

이에 반해 민주당은 박근혜 정부의 심판론을 전면에 부각하는 승부수를 통해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고 2017년 정권 탈환의 초석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이 연일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을 제기하며 여권을 압박하는 것도 선거 국면에서는 정권 심판론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지방선거의 성적표는 현재의 정치지형에도 중대 변수가 될 수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당내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간 역학 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야권에서는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의 명암에 따라 전체적인 주도권의 쏠림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현재로서는 선거 승패를 논하는 것 자체가 성급하다.

정국의 유동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행보도 변수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안 의원이 신당 창당을 공식화한 가운데 이른바 '신(新) 야권통합'을 통한 여·야 간 양자대결로 치러질지, 아니면 '안철수 신당'이 독자세력화한 3자 구도로 치러질지가 관건이다.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의 제한적이고 전략적인 선거연대도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로 꼽힌다.

다만, 내년 지방선거도 정치적 격변이 없는 한 영·호남 대결로 상징되는 동서분할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여야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충청권 등 '중원' 공략에 당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역대 지방선거에서도 이른바 수도권 '빅3', 그중에서도 서울시장 선거에서 이기는 쪽이 나머지 시ㆍ도지사 선거의 승패와 상관없이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간주돼왔다.

특히 '지방선거의 꽃'이자 대권가도의 '징검다리'로 인식되는 서울시장의 향배가 최대 관심사다.

실제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2년 서울시장 당선 후 5년 뒤 2007년 대권을 거머쥐었고, 박원순 서울시장도 재선에 성공한다면 단숨에 유력 대권주자 반열에 오를 공산이 크다.

절대 강자가 군림하지 않는 충청권의 '중원 싸움'도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야 각 당은 지방선거 120일 전인 내년 2월4일 17개 광역단체장 예비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선거체제로 공식 전환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