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교과서 8종. 서남수 교육부 장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교 한국사 수정명령에 따른 수정보완 승인결과를 발표하고 나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천안함 사건등 오류 보완마쳐… 교육부 심의 완료
수정 명령 출판사 7곳중 6곳 집필진 법적공방 남아
 
교육부는 10일 7종의 한국사 교과서 출판사가 교육부 명령에 따라 제출한 검정 교과서 수정안을 모두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내년부터 사용될 8종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수정·보완 작업이 모두 완료됐다.

지난 8월 이후 지속된 교과서 오류 및 '우편향' 논란은 일단락되는 양상이다.

하지만 이와는 별도로 수정명령을 받은 7종의 집필진 중 교학사를 제외한 6종 교과서 집필진이 수정명령 취소소송과 효력정지가처분 신청을 낸 상태여서 교육부의 교과서 수정명령의 정당성 논란에 대한 법적 판단은 아직 남아있는 상태다.

교육부가 구성한 수정심의회는 8개 출판사가 제출한 829건에 대한 수정·보완 대조표를 심의했으며 지난달 29일 이중 788건을 승인하고 41건에 대해 수정명령을 내린데 이어 이날 나머지 41건에 대한 수정안도 모두 최종 승인했다.
▲ 한국사 교과서 8종. 서남수 교육부 장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고교 한국사 수정명령에 따른 수정보완 승인결과 발표에서 심은석 교육정책실장과 함께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출판사별 수정 건수는 ▲교학사 8건 ▲금성출판사 8건 ▲천재교육 7건 ▲두산동아 5건 ▲미래엔 5건 ▲비상교육 4건 ▲지학사 4건으로, 출판사들은 총 41건의 수정명령을 모두 수용했다. 승인된 수정 내용은 ▲북한의 토지개혁에 대한 정확한 실상 설명(금성) ▲천안함 피격사건 주체 서술(두산동아) ▲6·25전쟁 당시 북한군과 국군의 양민학살사례 균형 서술 ▲남북 대립 및 통일 논의 중단 원인에 대한 올바른 서술(비상교육) ▲일본의 독도 침탈 과정에 대한 정확한 서술(지학사) ▲북한 주민의 인권문제에 대한 구체적 서술(천재교육) ▲반민특위 해산 과정에 대한 정확한 서술(교학사) 등이다.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논란이 됐던 대부분의 문제가 전부 해소됐기 때문에 이제 학교에서 교과서를 채택하는 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학교 현장의 교과서 선정·주문에 차질이 없도록 이날부터 전시본 웹 전시를 시작하고 오는 18일께부터 서책형 전시본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각 고등학교에서는 교과서 선정·주문을 오는 30일까지 완료하게 되며 내년 2월에 학교 현장에 교과서 공급이 완료된다.

한편 경기도교육청은 이날 논평을 통해 "(교과서 선정과 관련) 부당한 압력 등 학교 안팎의 불공정 행위는 없어야 하고, 학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역사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존중해야 한다"고 입장을 전했다.

/김태성·황성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