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교과서 관련 교육부 특별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교육부는 8일 교과서 선정 결정을 변경하거나 변경을 검토한 20개 학교 중 일부에서 외부의 압력이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교육부는 지난 6, 7일 이틀간 20개 학교에 대해 특별조사를 벌인 결과 일부 학교에서 항의방문 및 시위, 조직적 항의 전화 등이 교과서 선정 결정 변경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나승일 교육부 차관은 이날 기자브리핑에서 학교 관계자들의 진술을 인용해 "특정 교과서 선정 결과에 대한 일방적 매도로 인한 부담감과 학교 현장의 혼란 방지 등을 위해 교과서 선정을 변경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나 차관은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한국사 교과서가 선정된 이후 외부의 압력에 의해 번복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은 단위 학교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것" 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야당과 시민교원단체는 교육부의 특별조사 자체가 정치적 외압이라고 반발하고 있어 역사 교과서 선정을 둘러싼 갈등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학교장의 강압, 학운위 미개최, 순위 바꾸기 등 이미 드러난 위법사항에는 애써 눈 감고 정상적인 의사표현을 외압으로 매도하며 교학사 채택을 유도하는 교육부의 전례 없는 특별조사가 외압" 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윤관석 의원 또한 "교육부가 외부 압력이 작용한 학교를 밝히지 않은 것은 교육부의 재량권 남용 의혹을 사실로 확인시켜준 것" 이라며 특별조사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교육부 특별조사 결과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교육부 특별조사 결과, 이제는 교과서 놓고도 싸우네" "교육부 특별조사 결과, 애초에 선정할 때는 외압 없었나보네" "교육부 특별조사 결과, 누가 한줄 요약좀"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