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국민카드·롯데카드·농협카드 1500만명 개인정보 유출. 외국계 은행과 카드사, 저축은행, 캐피탈사에 이어 국민은행 등 시중은행에서도 고객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에서 1억400만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국민은행뿐만 아니라 다른 시중은행 고객 정보도 대량으로 빠져나갔다. 최소 수백만명에서 최대 1천여만명의 은행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날 오전 서울시내 한 KB국민은행 지점에 걸려있는 전자금융사기 예방서비스 안내문 앞으로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름·이메일 등 10여가지 개인정보 유출
고객들 해당업체 잇단 해지 조짐도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를 통해 고객정보가 대량 유출되는 과정에서 계열 은행사뿐만 아니라 다른 시중은행의 고객 수백만명의 고객정보도 빠져나간 사실이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에서 1억건이 넘는 고객정보 유출이 발생하면서 이로 인한 피해자는 1천5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카드 보유자 수가 2천만명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대다수 고객의 정보가 유출된 셈이다.

고객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카드사들이 17일부터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유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불안감은 더욱 커지는 양상이다.

유출된 정보가 이름·이메일·주소·전화번호·연소득·신용등급 등 10여 가지가 넘는 데다 외부로 유출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대 19개 항목의 개인 신상 정보까지 털린 고객도 있다.
▲ KB국민카드·롯데카드·농협카드 1500만명 개인정보 유출. 국민카드가 19일 홈페이지에 고객정보유출관련 `고객님께 머리 숙여 사과드립니다'라는 사과문과 `고객정보 유출 사고 관련 스미싱 주의 안내'라는 안내문을 게재했다. /국민카드 홈페이지
상황이 이렇다 보니 유출된 카드사에 대한 해지 조짐도 있다.

피해자들은 "정보가 유출된 것을 확인하니 불안해서 카드를 바꿔야겠다"며 "당장 해지하고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웬만하면 현금을 사용해야겠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박세춘 부원장보는 "카드 비밀번호 등이 유출되지 않았기에 카드 위변조 가능성, 불법사용 가능성은 극히 낮다"며 "불안한 고객이나 사고 우려가 있는 고객은 즉시 카드를 재발급하고 비밀번호를 교체하면 된다"고 밝혔다.

한편 정보유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카드사 피해접수콜센터로 신고하거나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118)로 신고하면 된다.

2차적인 금전 피해를 금융사가 보상하지 않으면 금감원의 분쟁조정절차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다.

/신선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