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이 주요 현안에 대한 공동 대응 방침을 밝혔다.
통합신당 창당 절차에 들어간 두 사람은 8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원의 증거 조작 의혹과 관련해서는 특검 도입을 주장하고 의료계 집단휴진에 대해서는 공공성 강화를 위한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김 대표는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과 관련, "국정원이 민주주의와 사법질서를 뒤흔들며 민주주의 근본을 위협하고 있다"며 "박 대통령은 계속 침묵하고 있고 검찰은 사건 관계자가 자살을 시도한 이후에야 진상규명 절차를 수사로 전환하는 안이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진상을 명백히 밝히고 책임자를 처벌, 이러한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단호한 조치를 취해달라"며 "정부 스스로 중립적 특검을 임명, 한 점 의혹을 남기지 않겠다는 자세를 가져야만 땅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특검 도입을 재차 강조했다.
안 위원장은 대한의사협회가 10일부터 집단휴진에 돌입하는 것과 관련, "사태의 근본적 원인은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박근혜정부에 있다"고 비판하며 의료 공공성 강화를 주장했다.
이어 "여야정 및 의사협회를 포함한 의료단체, 전문가, 가입자단체가 포함된 '의료공공성 강화와 의료제도 개선을 위한 협의체'을 만들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집단휴진을 앞둔 의료계에 대해서도 "어떠한 명분도, 정당한 요구도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우선할 수는 없다"며 자제를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