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처리문제는 경기도 뿐만 아니라 전국적
인 문제다.
 환경부가 오는 2003년 7월부터 하수슬러지의 직매립을 금지키로 했지만
각 지자체가 수백억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소각장을 건립할 수도 없고 그렇
다고 재활용하자니 재활용업체들이 이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 지자체들은 하는 수 없이 하수슬러지를 해양에 투기하는 방향으로
향후 처리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토양오염을 막기 위해 정부가 하수슬러지
직매립을 금지한 것이 해양오염을 부채질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는 꼴이 됐
다.
 지난 98년 전국에서 발생한 하수슬러지는 약 144만7천t. 이 중 해양투기
된 양은 약 38%인 55만2천여t에 달하고 있다.
 지난해엔 전체 176만1천여t 중 64%인 112만9천여t이나 바다에 버려져 2년
새 2배 이상이 증가했다.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가 급증하는 이유는 다름아닌 값싼 처리비용 때문.
 소각장을 이용할 경우 t당 5만원, 매립할 경우 t당 4만원 가량이 소요되
나 해양투기는 이의 절반정도인 1만~2만원 정도면 가능하다.
 특히 대부분의 하수슬러지가 폐쇄성 수역인 서해에 버려지면서 인천앞바
다 등 서해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향후 국제사회의 환경보호 요구가 거세
질 경우 집중 표적이 될 수 있다.
 도는 하수슬러지 처리문제가 더이상 방치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판단, 이
를 해결할 종합계획 수립을 검토중이다.
 먼저 2~4개 시·군을 권역별로 묶어 슬러지 소각처리시설을 광역화한다
는 방침이다. 이럴 경우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는 있으나 해당 지역 주민
들의 반대가 우려된다.
 그러나 도는 슬러지 소각처리시설이 일반 쓰레기소각시설과 달리 다이옥
신 등 환경오염 위험이 적기 때문에 주민설득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지자체와 연구기관, 일선 폐기물처리업체가 협력해 슬러지 재
활용 기술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