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원혜영·문병호 의원,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 등 통합신당 경기도지사·인천시장 출마자들이 잇따라 당내 경선방식으로 '공론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공론조사' 방식은 공천 결정권을 가진 선거인단을 구성해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 후 투표하도록 하는 것으로, '완전국민참여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나 '여론조사방식'에서 나타나는 조직동원·줄세우기·인기투표식선출' 등의 부작용을 해소하면서도 일반 국민의 참여를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안철수 의원측 새정치연합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알려져 향후 통합신당의 광역단체장 경선룰 결정 과정에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된다.

문 의원은 9일 보도자료를 내고 "전국대의원 50%와 국민배심원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해, 공론조사 방식으로 시·도지사를 공천하자"고 제안했다.

문 의원은 국민배심원 50%에 대해 "중립성 있는 여론조사기관에 위탁해 통합신당 지지자와 무당층 중에서 공론조사 참여를 동의하는 국민으로 구성한다면, 직접 민주주의의 장점도 살리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후보도 공천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고 밝혔다.

김 전 처장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새누리당에 맞서 승리하기 위해선 이른 시일 안에 국민적인 관심을 받는 역동적인 경선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오픈프라이머리의 정신을 최대한 살리는 동시에 투명한 방식이 되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김 전 처장은 경기도 전역을 최소 4개 권역으로 나눠 시민참여형 공론조사에 의한 후보를 선출하되 정책 제시 및 토론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후보의 정책과 비전을 충분히 검증하자는 입장이다.

이에 앞서 원 의원은 지난 6일 "경선혁명으로 선거혁명을 이뤄내자"며 시민참여와 공론조사를 결합한 '숙의형 오픈프라이머리-국민참여경선 2.0'이라는 경선방식을 제시했다.

/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