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9일 오전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의료휴진과 국정원 간첩조작 등 정국 현안에 대해 고강도 대여공세를 펼쳤다.
앞서 8일에는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세계 여성의 날 기념 한국여성대회에 참석해 '한 가족'이 됐음을 알렸다.
이들의 공동 행보는 지난 7일 통합신당 창당방식 및 지도체제에 대한 최종합의와 맞물려 시작됐다. 지도체제는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이 공동으로 신당추진단장(창당준비위원장)을 맡는 것으로 결정됐다.
창당 방식으로는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이 함께 발기인으로 참여해 제3지대 신당을 창당한 뒤 민주당과 합당하는 것으로 정리됐다.
이처럼 교착상태에 빠졌던 신당창당 작업이 탄력을 받게 되자 통합선언 직후에 비해 정체에 빠진 지지여론을 다시 끌어올리기 위한 공동전선 구축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여야정과 의사협회를 포함한 의료단체·전문가·가입자단체가 포함된 '의료공공성 강화와 의료제도 개선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들은 "의사들의 집단휴진이 현실화되는 것은 국민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는 일이 아니다"라며 "이 사태의 근본적 원인은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박근혜 정부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공의료 확충, 일차의료 활성화, 비급여에 의존하는 수가구조 개선 등 건강보험과 국민보건의 시급한 사안들은 외면한 채 추진하는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는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서울시 간첩사건 증거 조작 의혹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특별검사 임명을 촉구했다. 이들은 "박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이 문제에 대해서 진상을 명백히 밝히고 책임자를 처벌해 다시는 국가기강을 흔드는 이러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단호한 조치를 취해 주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와 함께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은 반드시 '약속을 실천하는 새 정치', '민생과 민주주의를 되살리는 새 정치'로 국민의 기대에 보답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10일 국회에서 신당추진단 전체회의를 열어 통합 작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이날 회의에는 그동안 물밑에서 '핫라인'을 가동해 온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이 양측 신당추진단장을 맡아 처음으로 전면에 나설 예정이다.
/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