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격의료 등 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대해 온 대한의사협회가 10일 하루동안 집단휴진을 강행키로 한 가운데 9일 오후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의 한 병원 출입문에 휴진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여져 있다. /임열수기자
경인지역 병·의원들이 10일 의료총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보건소·소방서 등 유관기관들과 주민들의 불편이 예상되고 있다.

9일 경기도와 도소방재난본부 등은 10일 '의료제도 바로 세우기를 위한 총파업 투쟁'에 참여하는 도내 병·의원들이 전체 10% 수준이라고 밝혔다.

인천시의사회는 관내 전체 회원 2천700여명 가운데 최소 60%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잠정 집계하면서 전문의 등 봉직의도 500명 이상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동안 10일 총파업 참여에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던 전공의 비상대책위원회가 총파업을 불법으로 간주하는 정부의 방침에 강하게 반발함에 따라 지난 8일 전국대표자회의를 열고 중환자실과 응급실 필수인력을 제외하고 총파업에 참여키로 하면서 10일 실제 파업에 돌입하는 병원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인천은 가천대 길병원과 인하대병원이, 경기도는 아주대병원과 순천향대학 부천병원 등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한 지자체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에따라 도는 45개 보건소와 121개 보건지소, 6개 도립의료원의 진료시간을 야간시간까지 연장하고 비상 근무인력을 편성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면서 파업 참여 의료기관에 대한 신고센터 운영 및 채증작업을 실시할 방침이다.

소방재난본부도 파업기간 중 상담·안내용 수보대를 증설하고, 응급구조사 1급, 간호사 등 구급유자격자를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하지만 의료파업으로 휴진하는 개인병·의원과 연계된 약국들의 매출이 감소되거나 응급 상황시 주민들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2차 피해에 대한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수원시 매탄동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A씨는 "병원 처방전이 없으면 약을 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수입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데다, 응급환자가 찾아와도 일반약을 처방하는 것 외에는 마땅히 해줄 수 있는게 없다"고 토로했다.

5세 자녀를 둔 박모(42·여)씨는 "미래를 생각하면 의사협회의 파업을 이해못하는 건 아니지만, 혹시 아이가 아플때 병원이 문을 닫았다고 생각하면 두렵다"며 "특히 환절기인데다 미세먼지·황사 등으로 기관지가 약한 아이가 아플까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홍현기·공지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