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을사늑약 체결을 앞두고 자결한 이한응(李漢應.1874∼1905년) 주영
(駐英) 대리공사가 구한말 주권수호를 위해 영국 정부를 상대로 펼쳤던 '
외교투쟁'을 입증하는 외교문서가 16일 처음으로 공개됐다.
이 문서들은 이 대리공사를 필두로 한 대한제국의 외교노력이 일본에게
상당한 위협으로 작용, '제2차 영일동맹' 체결을 서두르게 하는 데 영향을
끼쳤음을 추정케 하는 것이다.
미국 하버드대 국제학술대회 참석차 보스톤을 방문중인 서울대 김기석(교
육학.학생처장) 교수는 이 공사가 1905년 3월6일 영국 외무성에 접수시킨
외교각서(Memorandom)와 신변보호요청서, 외교훈령(Diplomatic
Instruction) 통첩(Note) 등 영국 공문서청(Public Record Office)에서
입수한 관련자료 20여건을 공개했다.
이 공사는 고종이 엘리트 외교 관료양성을 위해 1886년 설립한 육영공원
출신으로 영국, 벨기에 공사관 등을 거쳐 1902년 민영돈 초대 영국공사 후
임으로 주영 대리공사로 임명된 뒤 1905년 8월12일 영국 현지에서 32세의
나이로 스스로 목을 매 목숨을 끊어 일제 침략에 맞서 순국한 최초의 대
한제국 외교관리다.
이 공사가 직접 작성, 영국 외무성에 전달한 '외교각서'는 러일전쟁후 대
한제국의 주권보존이 위태로워졌다고 보고 대한제국의 독립과 영토보존을
규정한 1902년 제1차 영일동맹 조항을 계속 준수해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
을 담고 있다.
그는 그후에도 제1차 영일동맹 준수를 거듭 다짐받고자 외교훈령(3월22일
자)과 훈령접수에 대한 감사 통첩(4월8일자)을 영 외무성에 접수, 대한제
국 주권보장 약정에 대한 영국측의 약속을 이끌어내는 등 뛰어난 교섭역량
을 발휘했다.
특히 이날 공개된 훈령 등은 본국 정부가 이 공사와 계속 접촉을 갖고 영
국측과의 교섭시도를 적극적으로 지시한 내용을 담고있다.
또 그가 자결하기 한달전인 4월12일 산책도중 괴한의 테러공격을 받고 영
국 외무성에 요청한 '신변보호요청서'도 새롭게 발견됐다.
당시 영국언론과 일본 외교문서에는 이 공사가 심한 우울증과 광기로 인
해 자살한 것으로 기록돼 있으며, 영국은 같은 해 8월12일 일본과 맺은 제
2차 영일동맹을 통해 '대한제국의 독립과 영토보존' 문항을 삭제, 일본의
강점을 묵인했다.
김 교수는 '이 공사의 끈질긴 외교투쟁과 순국이 일제에 한 압박요인이
되면서 제2차 영일동맹을 맺도록 일본측을 자극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이
자료들은 오랫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구한말 외교사의 한 수수께끼를 풀어주
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버드대 국제학술대회에는 김 교수와 송두율 교수, 북한학자 등 남
북한과 일본, 미국, 독일 등 각국 역사학자 3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15일
(미국 현지시각)부터 4일간 진행된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