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통합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인천시당 창당을 기점으로 반환점을 찍은데 이어 주말 부산·서울에서 창당대회를 갖고 막바지 창당절차에 돌입했다.
하지만 정강정책·당헌당규·신당지도부 구성 등 여전히 난제들이 해결되지 않아 당안팎에서 컨벤션 효과가 물건너간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21일 인천 로얄호텔에서 인천시당 창당대회를 개최, 초대 공동위원장에 박영복 인천새정치실천시민연합 상임대표와 신동근 민주당 시당위원장을 선출했다.
인천시당 창당은 경기도당·대전시당·광주시당에 이어 네 번째다. 새정치연합은 이후 22일 부산, 23일 서울에서 창당대회를 가졌다.
현행법상 5곳 이상의 시·도당이 설립되면 창당요건을 충족하게 되는 만큼 새정치민주연합은 24일 제주를 끝으로 1차 시·도당 창당을 완료하고, 26일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어 창당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정식 출범 뒤 빠른 시일 내에 당을 6월 지방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개편할 계획이다.
외관상으로는 창당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난제가 곳곳에 자리잡고 있다. 논란끝에 안철수 창당공동위원장의 사과로 일단락됐지만 정강정책·당헌당규는 여전히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지방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방식, 신당 지도부 구성, 신당 창당 후 첫 지도부의 임기 등도 창당 전까지 해소해야 할 쟁점이다.
여기에다 안 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새정치연합 세력과 대선 후보를 지낸 문재인 의원을 중심으로 한 민주당 내 친노무현계 간 갈등해소도 난제다.
한편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당안팎에서 불거진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 철회 요구를 일축했다. 김 대표는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 폐지는 정당과 국회의원의 기득권을 내려놓으라는 국민의 오래된 명령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결단을 해야 한다"면서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재확인했다.
/김순기기자
새정치연합 인천시당 창당
인천 찍고 주말 막바지 창당 박차
정강 등 난제 산적 우려 목소리도
입력 2014-03-23 21:2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4-03-24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새정치민주연합 인천시당 깃발올려
2014-03-23
-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제 1야당' 공식출범 '민생 챙기기 최우선“
201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