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철수(왼쪽), 김한길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
새정치민주연합은 15일 이른바 '개혁공천'으로 불거진 당내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홍역을 치렀다.
경기지사 경선 룰 변경 논란에 이어 광주 지역 국회의원들의 특정 후보 지지선언으로 '안심(安心·안철수 공동대표의 의중)' 논란이 들끓는 가운데 중앙당이 기초단체장 부적격 후보를 직접 걸러내겠다며 메스를 들이댄 것이 사태를 악화시켰다.
당 지도부는 의원총회를 열어 소속 의원들에게 개혁공천안을 설명하면서 진화를시도했지만, 일부 시·도당 위원장들은 사실상 중앙당이 직접 공천하려는 게 아니냐는 입장을 지도부에 전달해 갈등의 불씨를 남겼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어제 회의에서 국회의원이 기초선거 공천에 관여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면서 박수로 결의할 것을 요구했지만 반응은 차가웠다.
일부 의원들은 큰 소리로 "그게 무슨 말이냐, 설명을 해달라"고 다그쳤고, 전 원내대표의 설명 뒤에도 "참 몰상식한 사람들이네"라고 야유를 보내기도 했다.
당황한 지도부가 회의를 비공개로 전환하려 하자, 설훈 의원이 공개 발언을 신청해 이를 제지하며 "국회의원에게 손을 떼라고 하기보다는 의원들이 개혁공천할 것이라고 지도부가 믿어줘야 한다"고 반격했다.
강기정 의원도 "국회의원을 범죄인으로 만들자는 것"이라면서 "우리가 언제 부당한 개입을 하는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김한길 공동대표는 "의원이 무조건 공천에서 손 떼라는 거라고 생각한다면그것과는 다르다고 이야기를 드린다"며 무조건적인 공천 관여 금지가 아니라 '부당한' 개입의 금지라고 해명했다.
논란이 된 광주지역 의원들의 윤장현 광주시장 예비후보 지지선언과 관련해서도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부적절한 면이 있다"고 지적했지만, 지지선언에 참가한 김동철 의원은 "윤 후보가 '광주의 박원순'이라고 생각한다. 지도부와 어떤 교감도 없었다"라고 해명했다.
지방선거 공천 방식에 대한 문제제기와 건의도 잇따랐다. 윤호중 의원은 "과거 공천 때 불공정한 일이 많았다"며 경선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마련을 촉구했고,유인태 의원은 "상향식으로 하면 신인 정치인이 올라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며 비례대표에 한해 하향식 공천을 주장했다.
의총 이후에는 수도권과 부산 등 민주당 출신 일부 시·도당 위원장들이 비공개회의를 가진 뒤 중앙당이 '기초단체장 후보자 자격심사위원회'를 통해 직접 기초선거 후보자 공천심사를 하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 입장을 김 대표에게 전달했다.
오영식 서울시당 공동위원장은 "(자격심사위가) 1차로 필터링하고 심사 결과를 넘겨 시·도당이 실질적인 공천심사를 하는 게 적절하다는 입장을 김 대표와 만나 전달했다"며 "(중앙당의) 기초공천 개입은 지분 나누기나 자기 사람 심기의 수단이 아니냐는 정치적 오해를 낳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대표는 "그런 의도는 전혀 없다. 자격심사위 역할을 명확히 정리하겠다"라며 수습을 시도했다.
그러나 당내 혁신모임을 주도하는 최재성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어 "최고위에서 기초선거 후보자 추천에 관한 특례 부칙을 신설해 기초선거 공천 권한을 공동대표에게 넘겨버렸다"면서 "풀뿌리 민주주의에 역행하고 사실상 제왕적 총재로의 퇴행"이라며 철회를 요구, 갈등의 불씨를 예고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