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행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세월호가 침몰한 전남 진도와 해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태풍, 홍수, 지진 등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재해와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등 사회 재난이 일어났을 때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 재난 대응·복구에 필요한 예산 일부를 국고로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안산 단원고 학생들의 안타까운 사망소식이 계속해서 전해지면서 안산시도 특별재난지역에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력하게 일고 있다.
세월호에 탑승했던 단원고 학생 340명 중 262명(사망 17명, 실종 245명)이 비극적인 상황에 처한만큼, 안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게 안산시의 입장이다.
안산시는 부상자 및 실종자에 대한 의료 및 장제비 지원과 실종자 가족에 대한 의료지원, 의연금품의 특별지원, 시가 실시하는 행정·재정·금융·의료지원에 필요한 비용 등에 특별재난지역 예산을 사용할 계획이다.
김철민 안산시장은 "안산시도 경기도를 거쳐 정부에 공식적인 건의를 올렸으며 정부도 긍정적인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안산시민들이 더이상 절망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안산시의회 전준호 의장도 "안산의 어린 학생들이 피해를 많이 본 만큼 이를 법에 의한 사회재난으로 규정해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말했으며 전해철, 구자현 안산지역 국회의원들도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안산 이재규·공지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