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세월호 사고 이후 어른들도 집단 트라우마를 호소하고 있지만 정신적 충격에 취약한 아동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시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승연 과장은 최근 자신을 찾아온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래 진료 환자 가운데 세월호 사고로 인한 정신적 불안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 과장은 "최근까지 안정적으로 지내다 세월호 사고 소식을 접하고 증상이 악화된 분들이 꽤 있다"며 "기사가 나올 때마다 자신의 일같이 생각하면서 정서적인 불안을 호소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아동복지 분야 권위자인 정익중(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어른들에게도 느껴지는 이 같은 정신적 충격에 아이들은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이들은 사고 대상자가 자신과 같은 나이대라는 동질감을 느끼면서, 스마트폰과 인터넷 등을 통해 세월호 사고 소식을 접하면서 정신적 충격을 그대로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세월호 사고 소식에 자기 아이도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특히 방임아동에게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돌봄을 받는 아이는 부모가 사고와 관련돼 많은 이야기를 해줄 수 있지만 방임되는 아이들은 그렇지 못하다" 지적했다.
정 교수는 또 "지역 내 많은 학생이 숨지거나 실종된 안산 지역의 경우 특히 심각할 것이다. 인력을 총동원해 주민들이 상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