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지도자들은 이를 끊임없이 시도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유엔이 1996년에 창립한 워싱턴 소재 'UN 밀레니엄 프로젝트'이다. 세계적인 2천500여명의 학자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미래 연구 싱크탱크이다. 최근에 '15대 도전과제 및 미래 사회 동인(動因)'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미국·영국·일본 등 주요 국가들도 주기적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거시적 흐름인 미래 메가트렌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해 오고 있다. 미국 정보위원회(NIC)의 미래 보고서 '글로벌 트렌드 2025', 일본 정부의 '이노베이션 2025', 영국 국방성 산하 발전 구상 독트린센터의 '전략적 글로벌 트렌드 프로그램' 등이 그것이다.
이 보고서들을 정리, 요약해 보면 미래의 거시적 변화를 크게 여섯 가지 주제로 나누어 예견하고 있다. 환경과 자원문제의 심화, 지식기반사회로의 진전 및 글로벌화, 인구구조 변화, 기술의 융합 가속화, 안전과 안보, 지속가능한 성장 등을 변화 방향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세계 보고서들이 제시하는 이 트렌드가 우리 사회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어 의미를 지닐 것이라는 것은 두말 할 필요도 없다. 한국은 이미 세계적 트렌드가 적용되는 보편성을 지닌 사회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벌써 우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분석하여 지적한 바 있다.
이 중에서 오늘 우리가 특히 주목하고 싶은 것은 '재난에 대응하는 사회의 안전'에 관한 노력이다. 재해·재난의 문제는 이제 세계 모두의 주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안전은 모든 일의 전제조건이기도 하지만 최근의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태를 비롯하여 대규모 자연재해 및 인재가 전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인명이나 재산의 피해도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지금이 그 어느 때보다 재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워 효과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때라고 강조하고 싶다. 지난 2012년 6월 우리나라는 세계 200여 나라중에서 20/50 클럽에 세계 7번째로 가입한 나라가 되었다. 인구가 5천만명이 되고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가 되어 선진국 대열에 들어선 것이다. 그러나 이에 걸맞은 안전에 대한 의식과 진정성, 대응하는 자세는 너무나 취약하다. 경제발전을 최우선으로 한 압축 성장의 대가가 물질적·정신적 요인으로 남아, 우리 주변 곳곳에서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더욱이 한반도는 변화된 기후의 영향을 받아 대형 태풍·홍수 등의 발생이 심히 우려되고 있고, 지진으로부터도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이 전문가의 견해이다. 최근의 몇 경우만 보더라도, 즉 1년여 전의 볼라벤 태풍, 11년의 전국적 순환 정전사태, 경주 마우나 리조트의 금년 초 붕괴사고 등에서 보듯이 곳곳이 안전지대가 아니다. 우리나라는 특히 원전·고속철도·지하철·가스관·송유관·초고압전력망 등 고도의 대형 시설물 등이 좁은 국토에 밀집되어 있다. 또한 북한과의 충돌이나 테러 가능성, 이른바 북한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어 보다 폭넓은 종합적인 대응책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이 보는 안전에 대한 이해와 일반 국민들이 느끼는 수준에는 차이가 있다. 전문가의 의견을 이해하지 못하면 일반인은 안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재난 진행에 대한 정보와 대처 요령 등을 일반 국민들에게 신속하게 전달하는 정보체계와 인프라도 잘 마련되어야 한다.
생텍쥐페리의 말을 빌릴 필요도 없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미래를 예측하는 것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가능하게 만드는 일이다. '안전한 사회', 진도 해역에서의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에 접하여 꽃같은 우리 아이들을, 수백명이나 가슴에 묻고 말할 수 없는 슬픔으로 절규하며 갈망해 본다.
/김병식 초당대학교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