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벌어진 세월호 참사로 인해 전면적으로 중단된 국회가 이번주부터 정상화 모드로 돌입한다.

이와함께 여야 정치권에서는 지방선거 경선 일정을 조심스레 재가동하려 하지만 후보들이 득표활동을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여야는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애도와 추모 분위기를 충분히 고려해 정쟁을 최대한 자제하고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법안 처리에 주력할 전망이다.

우선 29일 열릴 본회의에서는 각 상임위를 거친 법안을 처리할 예정이다. 시기가 시기인 만큼 '학교 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법' 등 안전, 재난과 관련된 개정법안의 처리가 우선시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기초연금법 절충안에 대한 처리가 진행될 예정이다.

그러면서 여야는 내달 15~16일 광역·기초자치단체장 등 지방선거 후보 등록을 앞두고 신중모드로 경선전에 임하려 하지만, 세월호 실종자 구조 활동과 전국적 추모 분위기에 선거운동을 표면에 내세우기가 어려운 만큼 표심을 어떻게 잡을지 골몰하고 있는 실정이다.

새누리당의 경우 수도권의 표심, 특히 경기도에서는 안산을 중심으로 인접지역에는 손을 대지도 못하고 있다.

도내에서 새누리당의 세(勢)가 가장 약한 지역인데다, 애통과 비통에 찬 지역에서 선거운동을 펼쳤다가는 자칫 '역풍'을 맞을 수도 있는 등 광역단위에서부터 기초단위 선거까지 모두 참패할 수 있다.

이미 1차례 TV토론회를 진행한 서울시장 후보 경선과는 달리 경기지사 후보로 나선 남경필·정병국 의원은 내달 10일 용인에서 경선을 치르지만, 마땅한 TV토론회 일정조차 잡지 못한채 선거관련 회의일정을 제외하고, 세월호 사고 지역인 진도에서 봉사활동을 하는게 주된 업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안산지역 기초·광역의원 후보 접수를 타 지역보다 미루는 등 안산과 관련된 선거 논의 자체를 금기시하는 분위기다.

/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