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오전 오산시청 광장에 세월호 침몰사고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합동분향소가 설치돼 직원들이 조문을 하고 있다. /임열수기자
19개 시·군 27곳으로 확대
인천도 시청앞 광장에 설치
道 '무한돌봄사업' 대상 포함
안산시 긴급 생계비 지급 등
지자체 피해자 지원도 잇따라


세월호 침몰 사고 희생자에 대한 추모 열기가 확산되면서 경기도내 지자체들도 잇따라 분향소를 설치해 추모객들을 맞이하기 시작했다. 또 이번 참사의 피해 가정 등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긴급 생계비 지원 등 지원책도 잇따르고 있다.

28일 경기도와 일선 지자체 등에 따르면 각 지자체별로 분향소가 설치중이며 29일까지 19개 시·군 27곳으로 확대된다. ┃표 참조

아직 분향소가 설치되지 않은 군포와 가평 등도 조만간 분향소가 마련될 계획이다. 인천시도 29일 오후 1시부터 시청 앞 미래광장에 세월호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운영한다.

이와 함께 인천시는 유가족들의 의견을 수렴해 부평가족공원에 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는 추모비 건립을 검토하고 있다.

분향소는 대부분 저녁 늦은 시간까지 추모객을 맞이한다. 또 대다수의 지자체에서는 시민단체 등의 주도로 리본달기 및 촛불문화제 등도 병행되고 있다.

피해가정에 대한 지원책도 속속 이행되고 있다. 경기도는 무한돌봄 사업 지원대상에 세월호 참사 피해가정을 포함키로 했다.

무한돌봄 사업은 정부지원을 받지 못하는 위기가정의 생계비와 의료비 등을 도와주는 경기도의 복지정책으로, 도는 이번 참사를 '지자체장이 위기상황으로 인정하는 경우'로 보고 지원을 적용키로 했다.

무한돌봄 지원 대상은 최저생계비 170% 이하 소득자이며, 도는 현재 세월호 참사로 위기에 처한 5가정을 확인해 무한돌봄 사업 예산으로 1개월치 445만5천원을 지원했다.

안산시도 희생 및 실종자 가족 250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여, 당장 생계가 곤란한 가족에게 생계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한부모 가족, 장애인 등에게 가구당 200만원을 우선 지원하고 희생자 유가족에게는 물품 지원은 물론 공무원과 통장이 2인 1조로 돌보미를 운영한다. 지방세 납기를 1년 연장하며, 희생자 유가족에게 무료 공영주차증을 발급한다는 계획이다.

/이재규·이경진·김주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