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언제, 어떤 형식으로 '대국민 사과'에 나설지 주목된다.
이번 사고가 초대형 참사인 데다 정부가 사고 예방부터 초동대응과 수습 등 전 과정에서 난맥상을 드러낸 만큼, 국정 최고책임자인 박 대통령이 진심어린 대국민 사과를 통해 사태수습과 국정쇄신의 강한 의지를 드러내야 한다는 의견이 야당은 물론 여당 내에서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는 지난 27일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의 반성과 사과를 촉구했으며, 여권에서도 적절한 시기에 사과 표명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정치권은 29일 박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를 주시하는 분위기다.
박 대통령은 사고 엿새째인 지난 2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이번 참사에 대한 정부의 위기관리 난맥상과 공직사회의 복지부동을 강하게 질타했지만 대국민 사과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부의 부실대응을 인정한 총리의 27일 사의를 수용한 박 대통령이 이번 국무회의 자리에서 만큼은 국정의 전면 쇄신을 약속하며 대국민 사과를 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사고가 발생한 지 벌써 열흘을 넘겼다는 점도 부담이어서 더 이상 시기를 늦추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어서다.
내용 면에서는 진솔한 사과 외에 유사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국가재난시스템의 혁신과 관료사회 혁신, 대폭적인 개각을 통한 국정의 전면적 쇄신 등을 약속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대통령이 사과 그 이상을 해야 한다"면서 "이번 사고에 대한 사과와 반성과 동시에 국가대개조와 국가의 총체적인 일신 그런 것들을 담아 대국민담화 형태로 발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직 사고 수습이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굳이 지금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할지에 대해 박 대통령이 부정적으로 생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언제 어떤 형식으로 사과에 나설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