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 28일 오후 세월호 희생자 임시분향소가 설치된 안산 올림픽 기념관을 찾은 많은 시민들이 분향 후 희생자들에게 애도를 표하고 있다. /특별취재반
 
학생들 유가족 특별지원속
일반승객측 상대적 박탈감
심리상담 치료도 계획뿐…
임시분향소조차 안치 못해


세월호 침몰사고로 희생된 탑승객들의 지원대책이 안산 단원고 학생들에게 집중되면서 일반인 희생자들에 대한 지원이 턱없이 부족해 유족들을 또한번 울리고 있다.

28일 경기도 합동대책본부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이날까지 도에서 파악한 도내 일반인 승객은 36명으로 사망자 14명, 실종자 3명, 구조자 19명이다.

그러나 단원고 학생들의 합동분향소와 추모공원 설립 추진 등과는 달리 일반인 희생자들은 현재 임시분향소에 조차 안치되지 못한 상황이다.

또 안산시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서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은 응급대책 및 재난구호와 복구에 필요한 행정, 재정, 금융, 의료상 특별지원을 받고 있지만, 일반인 희생자들은 이마저도 전무한 실정이다.

실제 부천에 사는 조모(8)군은 가족들과 함께 제주도 여행길에 올랐다가 홀로 구조됐다. 현재 어머니(45)와 친형(11)이 숨졌고 아버지(45)는 아직 실종 상태로 남아있다.

정부는 조군과 유족에게 조군 가족들의 병원비와 장례비 등을 전액 부담할 예정이다. 그러나 당장 생계가 막막해진 조군에게 부천시는 긴급생계비 명목으로 3개월간 월 100여만원씩을 지급하기로 했다.

특히 단원고 구조학생을 비롯, 희생학생 유가족들에 대한 심리상담치료 등이 체계적으로 1대1 전담 상담사 등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반면, 조군은 언제부터, 어떤 방식으로 치료할지 계획조차 없다.

일반인 희생자 유족은 "시신 수습에서 장례까지 일반인이라는 이유로 관심을 못 받고 있다"며 "똑같이 억울한 죽음을 당했는데 차별받는 것 같아 가슴이 더 아프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합동대책본부 관계자는 "주민들이나 유관기관에서 관내에 희생자가 있다는 정보를 알려주면 유족들과 접촉해 장례절차 등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종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