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29일 '세월호 참사'를둘러싼 정부의 위기대응 문제와 관련,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한 대여공세에 화력을 집중했다.
사고 발생 2주일 동안 드러난 각종 난맥상과 이로 인한 국민적 분노가 눈덩이처럼 쌓이면서 정부 책임론을 본격화할 시기가 무르익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대정부 공세와 민생법안 처리를 동시에 재촉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수권정당의 위상을 구축하겠다는 지도부 구상이 시작부터 기초연금에 발목을 잡힌 것은 고민거리다.
노웅래 사무총장은 이날 '원내대표단-여객선 침몰사고 대책위원장단 연석회의'에서 "어제 먹통이 된 청와대 게시판은 불통에 대한 민심의 경고"라면서 "박 대통령은 청와대를 향한 노란 리본의 물결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진지하게 성찰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석현 의원도 "이런 비극이 있게 된 것은 권력비리 탓"이라면서 "대통령은 사과만 할 게 아니라 사과에 이어 철저히 주변 사람부터 아래까지 다 파헤쳐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영환 당 사고대책위 공동위원장은 이날 오전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 이어 오후에는 국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사고 당일인 지난 16일 박 대통령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방문 당시 발언을 근거로 "오후 5시까지도 300명이나 선실에 갇혀 있다는 사실을 청와대는 몰랐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청와대 블로그에 게시된 동영상에서 박 대통령이 당시 안전행정부 차관으로부터 '갇혀 있어서 구명조끼가 큰 의미가 없다'는 얘기를 들은 뒤 '아, 갇혀 있어서…'라는 반응을 보였다는 점을 근거로 들며 "대한민국 정부는 실종됐다. 세월호 대참사는 명백한 인재였다"라고 비판했다.
인천 강화군수에 이어 경북 포항시장 경선에서 불거진 새누리당 예비후보의 금품 살포 의혹과 관련해서도 박광온 대변인이 "그들에게 양식이 있는지 묻는 것조차 사치스럽다"고 논평하는 등 6·4 지방선거를 겨냥한 대여공세를 재개했다.
다만 박 대통령이 이날 국무회의에서 사과의 뜻을 밝힌 데 대해서는 "가족과 국민께 위로가 되기 바란다"고 대응, 공격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당내 일각에서는 공세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민생법안 처리마저 여권과 분명하게 대립각을 세워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 지도부를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특히 안철수 공동대표가 27일 기자회견에서 "4월 국회에서 민생법안을 비롯한 현안을 조속히 처리하겠다"고 선언한 다음날 열린 의원총회에서 기초연금 절충안의 당론 채택이 무산돼 리더십 논란까지 불거진 상황이다.
그나마 진통 끝에 이날 방송법 개정안의 처리 방침을 당론으로 확정함으로써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관 120여개 법안 처리의 길을 열었지만, 사안마다 당내의견 조율에 난항을 겪는 모습이 여권에 반격의 빌미를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김한길 공동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세월호' 사고로 국민이 비통해하는데 당이 신중하게 언행을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고, 전병헌 원내대표도 "국민의 슬픔과 분노가 엄중한만큼 각별한 각오와 무거운 마음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책임과 역할을 다해가야 할 때"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