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난 및 범죄 등 위급상황에 신속 대응한다며 지난해 해당 재난관련 기관에 손쉽게 신고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사진)을 개발·보급했지만, 정작 촌각을 다투던 세월호 침몰사고 때에는 '무용지물'이 돼 빈축을 사고 있다.

재난 등 위급상황 발생에 대비해 다양한 콘텐츠를 마련해 놓고도 홍보 부족 등으로 스스로 이를 사장(死藏)시킨 것이다.

29일 국토교통부 등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스마트폰용 신고앱인 '스마트 구조대'를 안드로이드폰용으로 개발해 무료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앱은 위급상황 발생시 실행한 후 간단한 터치만으로 상황별 신고가 가능해 전화나 문자신고보다 신속하고 편하게 신고가 접수될 수 있다.

특히 GPS를 통해 신고자의 위치가 추적돼 신고를 접수받는 경찰·소방 등이 사고내용과 사고지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또 긴급해양신고(122)도 '해양사고', '해양범죄' 등으로 분류해 직접 신고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춰, 지난해 말에는 미래창조과학부가 후원한 한 우수앱 시상식에서 공공서비스분야 최우수상을 타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가 개발하고 정부 스스로 칭찬한 이 앱은 정작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못했다.

실제로 해경은 단원고 학생의 신고를 받는 과정에서 위도와 경도 등 위치를 묻느라 천금같은 시간을 허비해 아쉬움을 남겼다.

국토부는 앱 설치자가 5만명이라고 밝혔지만, 수천만명에 이르는 스마트폰 가입자 수에 비춰볼때 매우 미미한 숫자다. 앱을 통해 신고를 접수받는 유관기관조차 앱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가 허다했다.

경찰 관계자는 "신속히 신고가 접수되는 앱이 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들어본다"며 "이를 홍보해 달라는 요청도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 정부내에서도 협의나 정보 공유를 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이벤트를 통해 홍보하고 있으며, 내용도 업데이트 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