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월호 침몰사고 2주째인 29일 밤 전남 진도군 사고해역에서 다이빙벨 버팀줄 설치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
물살이 가장 거세지는 사리때(대조기)에 접어들어 수색작업이 제한되고 있는 가운데 투입 논란이 일었던 다이빙벨은 현재 사고 해역에서 대기 중이다.
다이빙벨 업체인 알파잠수종합기술공사측 바지선은 전날 사고해역에서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는 언딘측 바지선과 접안했다.
또 바지선과 세월호의 선미 4층을 연결하는 가이드라인도 연결돼 정조 때에 맞춘 최종 투입 시간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 |
▲ 세월호 침몰 14일째인 29일 오후 전남 진도군 관매도 인근 사고해역에서 해난 구조장비인 '다이빙 벨'을 실은 바지선이 언딘 리베로호에 정박하고 있다. '다이빙 벨'은 잠수사들이 오랜 시간 물속에 머물며 사고현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연합뉴스 |
다이빙벨 안에는 알파 소속 잠수사 2~3명이 탈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관매도 근처 해상에서 실시했던 테스트에서는 잠수사 3명이 탑승해 바닷속 2m가량 들어가 통신상태 등 기본적인 성능점검을 했으며 별다른 이상을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알파측은 기상과 바다 상태만 양호하다면 잠수사들이 세월호 선내로 진입해 수색작업을 벌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