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 세월호가 고박(고정해서 묶는 것) 부실과 과적으로 복원력을 잃고 침몰까지 이른 것으로 밝혀졌다.

세월호 침몰 당시 선체에 쌓여있던 컨테이너가 쓰러진 것은 모서리를 고정하는 콘(cone) 규격이 맞지 않은데다 컨테이너와 제대로 연결되지도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세월호 화물 적재 시 1단과 2단 컨테이너는 콘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거나 일부만 끼워져 있었고, 일부는 콘이 설치되지 않은 채 로프로 구멍을 연결해 묶기만 한 것으로 확인됐다.

화물을 연결하는 장치인 버클, 트위스트락, 라싱도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으며 승용차, 화물차, 중장비, 컨테이너가 실려 있는 C데크와 D데크에는 콘이 전혀 없어 화물이 단순히 쌓여있는 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화물 고정시설이 부실한 탓에 세월호 침몰 당시 선체와 갑판에 실린 컨테이너와 화물이 배가 기울자마자 순식간에 쏟아지면서 침몰까지 이른 것이다.

선사인 청해진해운 관계자들은 세월호 고박에 문제가 있었다고 진술했으며 일부 승무원들은 고박 방법조차 모른 것으로 드러났다.

퇴직 선원 3명은 증톤과 과적, 고박 부실로 세월호의 복원성에 문제가 있었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 세월호 침몰. 1일 오후 경기도 안산 화랑유원지에 마련된 세월호 사고 희생자 정부 합동분향소를 찾은 시민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 본래 선장 신모(47)씨와 대리 선장 이준석(69)씨도 세월호 복원력에 문제가 있었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고 청해진해운 측에 수차례 이야기를 했지만 묵살 당했다고 진술했다.

청해진해운 물류팀장 김모(44)씨는 세월호 사고 소식을 접한 이후 화물량을 축소해 컴퓨터에 입력한 것으로 밝혀졌다.

세월호 사고가 난 지 50분 뒤인 16일 오전 9시 38분 청해진해운의 직원과 통화하는 과정에서 과적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판단, 화물량을 180여t으로 줄여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사본부는 청해진해운 해무이사 안모(59)씨와 물류팀장 김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선박안전법 위반 등으로 체포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세월호를 증축해 복원력을 떨어뜨렸고 과적 위험성을 알고 있었음에도 빈번하게 과적한 혐의를 받고 있다.

수사본부는 세월호 침몰 원인이 과적, 구조변경 등의 과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있다고 판단, 단계별 관계자를 업무상 과실치사의 공동정범으로 규정했다.

안씨는 세월호 증축 과정에서 고철 판매대금 3천여만원을 가로챈 혐의(업무상횡령)가 추가됐다.

수사본부는 승무원들과 청해진해운이 세월호 탈출 전후 7차례에 걸쳐 통화를 주고받은 사실을 확인하고 선사 측의 부적절한 지시가 있었는지를 조사 중이다.

선장 등 승무원 8명에 이어 3등 기관사 등 3명이 승객들을 구하지 않고 현장을 가장 먼저 탈출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수사본부는 나머지 구속된 승무원 4명과 안전설비 업체, 선박 개조업체를 상대로 보강 조사를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