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 국회 차원의 재난안전관리 특위 구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정부 공세수위를 높이고 있는 새정치민주연합은 국정조사 카드를 꺼내들었다.

세월호 참사 직후 한 목소리로 자성의 목소리를 냈던 정치권이 재발 방지를 위한 후속 대책에 이르러서는 각기 목소리를 내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오늘 당 '국가안전 확대최고회의'에서 세월호 사고 진상조사와 제도개선안 마련을 위한 국회 차원의 재난안전관리 특위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며 "야당과 협의해 내일 본회의에서 처리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재난의 사전 예방적 측면을 대폭 보강하기로 했다"면서 "당 부설 여의도연구원이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 '제2의 세월호'가 어디에 있는지 점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또 "학교시설은 물론 각종 대형 구조물과 원전, 화학물질 취급소, 지진이나 해일사태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모든 부분에 대해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은 특위에 여야 의원 외에 민간전문가들을 자문위원으로 위촉, 전문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새정치연합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고위 정책 및 여객선 침몰사고 대책위 연석회의'에서 세월호 참사와 관련, "사고 수습 과정을 보면 능력도 부재이지만, 국민과의 공감을 못 이루고 있는 '공감부재 정권'임을 새롭게 확인하고 있다"며 "사태의 수습과 진상 규명, 대처 과정에서 국회 국정조사는 불가피한 사항이 됐다. 수습에 방해가 되지 않는 시점에 국회에서 국조를 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전 원내대표는 또 "지금은 설익은 대책을 서둘러 발표할 때가 아니라 국가 시스템을 바꿀 근본적, 종합적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 국가시스템을 장악한 '관피아'(관료+마피아)가 얼마나 해악을 끼쳐왔는지 여실히 드러난 만큼, 앞으로의 개혁도 정부와 관 주도만으론 안 된다"며 국민 주도의 근본적 재난대책 시스템 구축을 주문했다.

/정의종·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