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오전 6시 5분께 민·관·군 합동구조팀이 세월호 수중 수색을 재개한 직후 민간잠수부 이광옥(53)씨가 작업 중 의식을 잃어 헬기로 목포 한국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사망했다.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 소속 민간잠수부인 이씨는 이날 오전 6시 7분께 잠수했고 5분여 만에 통신이 중단됐다.
수심 25m 지점에서 통신하는 과정에서 이씨의 호흡 상태가 급속히 나빠지고 연락이 끊기자 합동구조팀은 해군 잠수요원들을 투입해 이씨를 바지선 위로 끌어올려 구급조치를 했다.
그러나 이씨는 잠수요원들이 수중에 도착하기 전 이미 허리에 찬 납 벨트를 풀고 급상승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잠수 도중 몸이나 장비에 이상이 생겨 스스로 먼저 조치를 취한 것으로 구조팀은 보고 있다.
이씨는 물 밖으로 나온 뒤에도 의식을 회복하지 못해 오전 6시 44분 헬기로 이송 7시 12분께 목포 한국병원에 도착했고 7시 36분께 최종 사망 판정을 받았다.
![]() |
▲ 세월호 민간잠수부 사망… '기뇌증' 추정. 세월호 사고 해역에서 수중 수색을 하던 민간잠수사 1명이 사망했다. 6일 오전 6시 5분께 민·관·군 합동구조팀이 수중 수색을 재개한 직후 민간잠수사 이모씨가 작업 중 의식을 잃어 헬기로 목포의 한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사진은 이날 오전 진도군 임회면 팽목항에 위치한 민간다이버 구조팀 접수처. /연합뉴스 |
이씨는 잠수사들의 피로누적을 감안해 언딘에 의해 고용돼 추가투입된 민간잠수사 13명 가운데 1명이었다. 전날 사고 해역 바지선에 도착한 뒤 기상 악화로 잠수하지 못하다 이날 오전 첫 잠수 도중 사고를 당했다.
박인호 목포한국병원장은 "뇌 속에 공기가 차 있는 '기뇌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피 검사에서 칼륨 수치가 높았다"며 "기뇌증은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하고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 다이빙과도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50대 잠수사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잠수 인력의 무리한 투입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망한 잠수부는 사고해역 첫 투입이였지만 기존 잠수부 인력의 피로도가 심한 상황에서 적응과정 없이 곧바로 대체인력이 투입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한편 해경은 이날 민간잠수부 사망 사고 발생 이후 수색을 잠시 중단했다가 재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