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세월호 잠수수색에 첫 투입된 민간잠수사가 잠수 5분 만에 의식을 잃고 결국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전날 세월호 사고해역 현장 투입된 지 만 하루만에 잠수를 시도한 이 민간잠수사는 그동안 20여일 잠수로 인한 기존 잠수사들의 피로도를 감안해 긴급 투입된 민간잠수사로 무리한 투입이 희생을 낳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오전 6시 5분께 정조시간을 맞아 수중수색을 재개한 민·관·군 합동구조팀 중 해경과 한팀으로 편성된 민간잠수사 이광욱(53)씨가 세월호 사고해역에서 첫 잠수를 시도했다. 

수면 공기공급방식인 이른바 '머구리' 방식으로 공기 공급선을 입에 물고 잠수한 이씨는 잠수한 지 5분 만에 수심 25m 지점에서 이상 증세를 보였고 호흡이 나빠지더니 통신마저 끊겨 대기하고 있던 해경 구조잠수사가 들어가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현장에서 해군 군의관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며 헬기로 목포 한국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결국 숨졌다. 

이씨는 해경이 동원령을 내려 소집된 민간단체 인명구조협회 소속 잠수사로 구난업체 언딘 측과 계약을 맺고 세월호 현장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잠수사 이씨는 입수 후 약 5분 만에 "25m, 30m" 잠수 깊이를 통신으로 알려야했지만 통신이 끊긴 것으로 알려졌다.

해경 관계자에 따르면 수중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된 이씨는 공기공급장치를 벗은 상태였고, 벗은 공기공급장치의 호스와 주변의 다른 줄이 복잡하게 꼬여있던 상태였다고 전했다. 
▲ 세월호 진입로 개척 민간잠수사 희생… 현장 무리한 투입 우려. 세월호 사고 해역에서 수중 수색을 하던 민간잠수사 1명이 사망했다. 6일 오전 6시 5분께 민·관·군 합동구조팀이 수중 수색을 재개한 직후 민간잠수사 이모씨가 작업 중 의식을 잃어 헬기로 목포의 한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사진은 이날 오전 진도군 임회면 팽목항에 위치한 민간다이버 구조팀 접수처. /연합뉴스

이씨는 이날 선체 5층 로비에 가이드라인을 연결하는 작업이 예정돼 있었다. 수중에서 공기공급선과 다른 줄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본인이 직접 수습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해경 관계자는 전했다. 

사고 직후 바지선 위에서 이씨가 착용한 잠수장비를 확인한 결과, 공기공급과 통신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이로 볼 때 잠수 작업 중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 복잡하게 설치된 유도줄 등에 공기공급선이 꼬여 사고를 당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긴급하게 추가 투입된 이씨가 처음으로 낮선 환경에서 잠수하다 화를 당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세월호 침몰사고 초기부터 잠수수색에 투입된 한 민간잠수사는 "새로 투입된 잠수사들이 현장상황에 적응하려면 적어도 4~5일은 걸린다"라고 말했다. 

한편 목포 한국병원 측은 민간잠수사 이 씨의 컴퓨터 단층 촬영 결과 뇌에 공기가 들어가는 기뇌증 소견이 보인다고 밝혔다. 기뇌증은 압력 차이로 뇌에 공기가 들어가는 증상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