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예비후보는 6일 공천문제에 대해, 앞서 지난 3일에는 기초연금법 국회 통과에 대해 당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 예비후보가 이처럼 당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낸 것이 흔치 않은 일인데다, 당 지도부를 겨냥한 것 자체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그 배경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김 예비후보는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세월호 참사에 대한 국정감사·특검을 주장했다. 또 이번 지방선거에서 탄핵받았다는 생각이 들도록 박근혜 정권을 확실히 심판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천 문제와 기초연금법에 대한 당 지도부의 처신을 걸고 넘어졌다. 김 예비후보는 "나라를 근본적으로 바로세우는 것을 고민해야 할 때 박근혜 정권의 기초연금 공약 파기에 들러리를 섰다"고 말했다. 또 "지방선거 공천은 민의가 우선이라는 원칙을 저버리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각을 세웠다.

안 공동대표의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김 예비후보가 다름아닌 안 공동대표를 공격하고 나서자 '존재감'을 부각시키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당내 일각에서는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 중 경기 안산시 단원고 학생들이 대거 포함됐다는 점을 들어 전직 경기도교육감이었던 김 예비후보의 간접 책임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한 핵심 당직자는 "당내에 김 예비후보에 대한 책임사퇴론 분위기가 적지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김 예비후보를 잘 알고 있는 지인들이 김 예비후보에게 그런 말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예비후보가 이런 당내 일부 기류에 쐐기를 박기위해 강경발언을 쏟아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김 예비후보는 이날 기자회견 직후 책임론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저는 임기말 도지사 선거에 나오려 교육감에서 물러난 것으로 (박 대통령의 책임과는) 성질이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