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경기도지사 후보군들은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기 위해 재난 관련 총괄 부서를 신설하는 등 행정혁신 및 재난 안전 예방기구의 설립을 임기내 처리할 최우선 사업으로 꼽았다.


도내에서 각종 재난·재해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군으로는 교통 및 여성·아동범죄와 수련시설과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 등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진단했다.

관련기사 4면
새누리당 남경필·정병국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원혜영 의원과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 등 경기도지사 출마자 5명은 경인일보가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실시한 안전 대응 관련 설문조사에서 경기도지사에 선출되면 이 같은 내용들을 임기내 가장 시급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설문조사에 응한 5명 모두 세월호 참사의 비극이 현장의 초동대응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저마다 행정·관료개혁을 통한 컨트롤 타워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안전 대책기구의 신설을 주장했다.

여야 후보들은 세월호 사고 직후 컨트롤 타워가 작동하지 않아 더 큰 피해가 발생했다고 강조했다.

남 의원은 도지사가 주재하는 총괄조정회의를 신설하는 한편 재난 대응 능력 배양을 위해 '워게임 재난 안전센터'와 '빅데이터 재난 안전센터'를 설립하겠다고 공약했고, 정 의원은 경기도 3부지사제를 도입, 1인을 안전부지사로 임명해 신설되는 '경기안전처'를 총괄토록 하는 등 다양한 대응책을 내놓았다.

김 의원은 취임 6개월내에 안전관리 컨트롤 타워를 전면 재검토하고, 재난 고위험군 5개 분야 우선 사업을 선정해 긴급방재 및 구난 복구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고, 원 의원은 콩나물 시루 같은 광역버스의 안전위협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한 앉아 가는 버스 공영제'를 실시하겠다고 공약했다.

김 전 교육감은 경기도 재난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장지휘 체제를 강화하는 한편 숙박수련시설에 대한 협동조합화를 장려하는 등 수련시설 안전인증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정의종·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