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가족들은 KBS 사장과의 직접 면담이 불발되자 대통령이 나서 해결해 달라며 청와대로 향하는 길목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으로 자리를 옮겨 경찰과 밤새 대치하며 집회를 이어갔다.
유족 120여명은 8일 오후 9시쯤 경기 안산 정부 합동분향소에서 버스를 타고 오후 10시 10분께 KBS 본관 앞에 도착했다.
이들은 분향소에서 갖고 온 희생자들의 영정을 품에 안고 "김시곤 KBS 보도국장이 세월호 희생자수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비교하는 발언을 했다"면서 해당 간부의 파면과 사장의 공개사과 등을 요구하며 건물 진입을 막는 경찰과 4시간가량 대치했다.
유족 대표 10여명은 진선미 의원 등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5명의 중재로 오후 11시 35분쯤 건물로 들어갔으나 협상이 결렬됐다.
![]() |
▲ 세월호 유가족 KBS 항의 방문… "김시곤 KBS 보도국장 해임 사과 요구". 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본관에 세월호 침몰 사고 유족들이 희생자들의 영정을 들고 항의방문하고 있다. 이들은 세월호 희생자수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비교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진 KBS 모 국장의 해임 등을 요구했다. /연합뉴스 |
유족들은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겠다'며 9일 오전 3시50분께 청운효자동주민센터에 도착한뒤 길을 막는 경찰과 밤새 대치했다.
청와대 주변에는 13개 중대 900여명이 경력이 배치됐고 일부 유족은 경찰 앞에 무릎을 꿇고 "길을 열어달라"고 애원하기도 했다.
유족들은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휴대전화에서 복구한 동영상 5컷을 공개하기도 했다.
각각 20∼40초 분량의 동영상에는 기울어진 배 안에서 구명조끼를 입고 대기하거나 위로 올라가려다 미끄러지고, 웃으며 기도하는 등 학생들의 모습이 담겨 있으며,'움직이지 말라'는 선내 안내방송도 들어있다.
앞서 미디어오늘은 전국언론노조 KBS 본부측의 말을 인용해 "보도국 간부가 회식 자리에서 '세월호 사고는 300명이 한꺼번에 죽어 많아 보이지만 연간 교통사고로죽는 사람 수를 생각하면 그리 많은 것은 아니다' 라고 발언했다"고 지난 4일 보도해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KBS 측은 9일 홈페이지를 통해 "당시 발언은 한달에 교통사고로만 500명이 사망하는데 그동안 이런 문제에 둔감했는데 이번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우리 사회 안전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보도를 해야한다는 취지였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