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무조정실 감사관이 최근 부산항만공사를 현장조사한 데 이어 울산지방검찰청이 울산항만공사를 전격 압수수색하면서 다음 '타깃'은 인천지역 해운·항만업계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국무조정실 공직복무관리실 감사관은 지난 8일 부산항만공사를 찾아 5시간가량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감사관은 경영본부장, 감사팀장, 경영지원팀장, 노조 관계자 등과 개별적으로 면담했다.
감사관은 임기택 사장의 직무 역량, 복무 기강, 경영 정상화 노력 등 취임 후 실적 등을 평가해 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치권 출신으로 항만분야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은 박모 운영본부장에 관해서도 업무 수행능력 등을 집중적으로 질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관은 면담을 마친 뒤 기관 일반 현황, 기관장 인적사항, 업무추진비·외국출장 현황, 주요 경영성과 등 25가지 자료를 요구했다.
같은 날 울산지검 특수부는 울산항만공사를 압수수색해 항만 관리감독 관련 컴퓨터 파일, 각종 감사자료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울산항만공사가 발주한 공사에서 발생한 배임 혐의 등에 대해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정당국이 국내 주요 항만기관들을 집중적으로 파헤치면서 인천항만공사를 비롯한 인천지역 해운·항만업계도 덩달아 긴장하고 있다.
우선 인천항만공사는 부산과 마찬가지로 정치권 출신 경영본부장에 대한 '낙하산' 논란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감사원이 이달 초에 벌인 인천항만공사에 대한 감사 결과도 관심거리다. 감사원이 세월호의 입출항 정보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문한 만큼, 중대한 비리나 부실 경영이 드러난다면 곧바로 수사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아직까지 감사원 감사 외에 경찰이나 검찰에서 자료를 요청하지는 않은 상황이다"고 했다.
인천지검도 항만 관련기관이나 업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정치인이나 토호세력에 대해서도 관심있게 들여다보고 있다.
인천지검 관계자는 "국무조정실이 부산을 갔다면 다음은 인천 아니겠느냐"며 "검찰도 해운비리 특별수사팀 구성 후 각종 언론보도와 업계 동향을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 해운·항만업계 전반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이는 사정당국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운·김민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