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13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새정치민주연합은 13일 세월호 참사에 대한 대여 공세를 이어가면서 '4·16 이후의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당 차원의 대안 모색에도 착수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기다리라고 하는 정부의 말을 믿을 수 없다는 유가족들 요청을 국회가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이번 주와 다음 주에 세월호 관련 상임위를 모두 열어 진실을 알고 싶어 하는 국민 마음을 국회가 대신해줘야 한다"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당 자체적으로 파악한 세월호 관련 상임위 11곳의 향후 과제들을하나하나 거론한 뒤 "새누리당은 11개 상임위에서 할 일이 무엇이냐 반문하고 있다"면서 "중요한 일들이 산적한 만큼 국회가 국민을 위해 일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 세월호 사고대책위 제도개선팀은 본격적인 상임위 가동에 앞서 이날 '안전한나라, 어떻게 만들 것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어 상임위별 향후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춘진 의원은 세월호참사 발생 직후 해경의 초동 구조 대응이 완벽히 실패한 원인으로 해경의 현장 구난구조 기능 약화를 꼽으며 "해경을 '해양경비청'으로 조정하고 구난구조 현장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13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세월호참사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성역없는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필요하면 전직 대통령도 국정조사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 의원은 그러면서 "세월호 사고는 복합적 인적 과실로 유발된 인재인 만큼,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사고원인을 명백히 규명하고 대내·외적 책임을 엄중히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백재현 의원은 국가 재난관리시스템과 관련, "정부가 신설하겠다는 '국가안전처'를 총리 산하에 둔다는 것은 청와대에 대한 책임 소재를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일단은 국가 위기관리 및 재난대응의컨트롤타워가 청와대라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컨트롤타워와 현장의 매개체 및 중앙 집행기능을 하는 기관으로서 부총리급의 장관을 수장으로 하는 '안전방재부'라는 조직을 신설, 현행 안전행정부의 안전관리본부와 소방방재청의 방재기능을 각기 분리해 결합하는 형식으로 꾸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유은혜 의원은 교육부·교육청·학교별 학교안전관리를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것을 강조했고, 보건복지위 소속 김용익 의원은 재난 위기대응 매뉴얼에 '심리지원'을 포함할 것과 가칭 '중앙 정신건강 트라우마센터' 건립, 피해자 및 가족에 대한 긴급복지 지원 등 생활지원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