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세월호 참사에 대한 국회 차원의진상 규명 방식을 둘러싸고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여야는 최근 세월호 국정조사요구서를 공동으로 발의키로 합의했으나 14일 현재까지 방법이나 대상, 목적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은 국조와 별개로 5월 중 상임위별 청문회 개최, 19∼21일 중 이틀간 긴급 현안질의 등도 요구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은 청문회와 법안심의권이 부여된 특위를 구성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새정치연합이 소관상임위를 모두 열어 국정 현안을 질의하겠다고 해서 지금 각 상임위가 열리고 있다"며 "특히 현안질의 끝에 5월 중 반드시 청문회를 개최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고전했다.
또 "새정치연합은 16일에 본회의를 열어 여야가 국정조사요구서를 함께 제출하고, 19∼21일 중 이틀을 정해 긴급 현안질의를 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 부분에 대해 오늘 중으로 답변하라고 최후통첩을 했으나 우리가 아직 대답을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과거 사례를 보면) 청문회나 국조에 온 시선이 집중된 이후 여야가아무런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보고서 채택도 하지 못하고 끝내는 경우가 있었다"면서 "그래서 우리가 청문회를 실시하고 법률안을 심의해 제도 개선까지 하는 미국의 '9·11 위원회'와 같은 특위 구성 의견을 냈으나 부정적인 답변을 들었다.
다시 국조를 위한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새정치연합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상임위 청문회와 긴급현안질의는 진상 규명에 필수적"이라며 "여야가 개최에 합의한 안행위, 농해수위 외에 다른 상임위도 조속히 열려야 한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여당이 제안한 특위 구성을 두고 "일반 특위는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지 않는 탓에 진상규명에 미흡할 수 있다"며 "일반 특위가 아니라 강력한 권한을 가진 국정조사 특위가 열려야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야는 금명간 세월호 국조를 포함해 국회 진상 규명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협의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