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제 등 도입 불구
세월호 탓 투표율 저조 우려
당 공천불만 현직 시장들
무소속 후보 돌풍 예고


6·4 지방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이 오는 22일부터 시작된다.

후보들은 선거일 전까지 주어진 13일간의 선거운동기간 동안 '당선'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게 된다.

이번 선거는 '세월호 참사'가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때문에 후보들은 저마다 '안전' 공약을 내세우고 있으며 희생자 추모를 위해 '조용한 선거'를 진행하겠다는 후보들도 많다.

당초 이번 선거는 '사전투표제' 도입 등으로 투표율이 높아질 것이란 기대를 낳았지만, 세월호 사고 이후 국민들의 '정치혐오'·'투표 무관심' 등으로 참여 저조가 우려되고 있다.

유권자 입장에서는 18대 대선 이후 1년6개월만에 치러지는 전국 단위 선거다. 이 때문에 야권은 직전 선거에 대한 '정권심판론'을 주장하기도 한다. 여권은 '일꾼론'을 통해 일 잘하는 후보를 뽑아야 한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선거운동 기간 선거 흐름의 변곡점이 될 변수도 존재한다.

오는 23일 '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5주기'는 진보진영의 단합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북한의 도발 등 '북풍'은 보수 결집에 응고제가 되기도 한다는 게 정치권의 설명이다.

한편 이번 선거는 지역별 격전지가 많아 '제3의 후보'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높다. 맞대결 양상 지역에서는 제3의 후보 유무 여부가 당락을 좌지우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당 공천 과정에 불만을 품고 출마한 현직 시장 등은 '무소속 돌풍'을 예고하고 있어 이 부분도 관전포인트중 하나다.

특히 경기도교육감의 경우 7명의 후보자가 출사표를 내밀어 후보간 단일화가 본선에서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김태성·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