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9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 "하향식 책임전가에 그친 미흡한 담화"라며 공세를 폈다.

박 대통령이 해경과 안전행정부 등의 책임에만 화살을 돌리고 내각 전반의 책임에는 눈을 감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대책이 정부조직의 일부 개편에 그쳐서는 안 되며 국가운영 운영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거듭 주장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은 정부조직의 일부 개편을 해법으로 제시했다"면서 "그러나 그 전에 대통령이 취임 직후 직접 제안한 정부조직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 것에 대한 자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무총리 산하 국가안전처 신설안에 대해서도 "대통령이나 청와대가 시스템을 책임지지 않아 이번 참사가 생겼다"면서 "청와대가 책임을 지지 않는다면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며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재난안전 컨트롤타워가돼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의원들도 성명을 통해 "해경 해체 등 무리한 부처폐지는 더 큰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며 "이런 방안들은 충분히 논의하지 않고 담화에서 부처 통폐합, 관피아 척결을 발표한 것은 졸속"이라고 비판했다.

민병두 당선거대책위 공보단장도 기자들과 간담회를 열어 "전두환 육사공화국, 이명박 검찰공화국, 박근혜 관료공화국이라는 말도 있다"며 "개혁대상인 관료들이 개혁안을 만든다는 것도 한계가 있다. 국민이 중심이 돼 개혁안을 만들어야 한다"고주장했다.

담화의 시기와 방법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졌다.

민 단장은 "대통령의 사과는 만시지탄이지만 다행"이라면서도 "사과가 더 길었더라면 하는 생각을 갖는다. 사과는 짧고 눈물은 길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광온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세월호가 물 속에 가라앉은 지 34일째에 (대통령의 책임인정과 사과발언이) 나온 것은 안타깝다"며 시기문제를 지적했다.

박 대통령의 아랍에메리트 방문에 대해서도 "이 시점에 꼭 출국해야 하는지, 많은 국민들은 공감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원내대표를 지낸 박지원 의원은 트위터에 "눈물만 있고 책임은 없다. 인적쇄신도 간 곳이 없다"고 적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