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월호 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한 일자리 지원을 검토한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현안보고에서 "세월호 사고 피해지원 방안 중 하나로 피해자와 그 가족의 개별상황 등을 감안해 일자리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피해지원과 관련해서는 부상자·피해자 가족 등에 대한 치료비·장례비, 긴급 생계비와 생활안정자금, 가족돌봄서비스 등 범정부적으로 다양한 지원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세월호 피해 가족에 4인 세대 기준 253만원의 생활안정자금, 월 108만원의 긴급생계비와 고교생 1인당 70만원의 학자금 등을 지급하기로 한 바 있다.

현 부총리는 피해 가족 지원이 미봉책에 그쳐서는 안된다는 지적에 "가족 지원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일자리나 그 이상을 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강구 중"이라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올해 질서 및 안전담당기관 예산과 범죄·해상·소방안전 등 관련 예산으로 구성된 '공공질서 및 안전' 예산 규모가 15조8천억원이라고 설명했다.

이 예산 이외에 부처별로 실제 재난수습 과정에서 쓸 수 있도록 편성된 예산은 안행부 특별교부세 4천930억원 등 1조6천억원 가량이다.

그러나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윤호중 의원은 "법원, 검찰청 예산까지 다 끌어다 15조8천억원이 안전 예산이라는 게 무슨 의도냐"고 추궁하는 등 야당 의원들은 정부의 재난 예산 관련 자료가 부정확하고 지나치게 부풀려져 있다고 비판했다.

/정의종·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