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내 시·군에 설치됐던 세월호 참사 분향소들이 조문객 감소로 인해 조기 폐쇄되고 있는 가운데 20일 수원시청에 마련된 분향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임열수기자

세월호 참사 한달여째
하루 수십명으로 발길 '뚝'
운영 인력·유지비용 이유
도내 절반 16개 시·군 문닫아
"수색 안끝나… 성급" 지적도

'아직 실종자가 남아있는데 너무 이른 것 아닙니까' '조문객도 없는데 무작정 문을 열어 놓을 순 없습니다'.

전 국민을 충격에 빠뜨린 세월호 참사가 한달여 지나면서, 경기도내 일선 시·군에 일제히 설치됐던 분향소들이 속속 문을 닫고 있다. 

조문하는 시민들이 급격히 줄고있다는 이유지만, 세월호 실종자 수색이 마무리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너무 성급한 폐쇄가 아니냐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20일 경기도와 일선 시·군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수원시 연화장 승화원을 시작으로, 도내 31개 전 시·군이 세월호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분향소를 설치했다. 

지난 19일 오후 6시 현재 도내 분향소를 방문한 인원은 안산의 합동분향소 53만8천여명을 포함, 93만5천여명에 달한다.

하지만 현재 분향소를 운영하는 곳은 안산시의 정부합동분향소를 비롯해 15개 시·군 20곳에 그치고 있다. 절반이 넘는 16개 시·군에서 분향소가 폐쇄된 것이다.

지난달 25일 양평군을 시작으로 분향소를 종료한 시·군들은 시민들의 조문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운영인력과 유지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철수했다는 입장이다.

실제 분향소 설치 당시 하루 1천여명의 조문객이 방문했던 구리시의 경우 5월초 황금연휴가 지나면서 하루 수십여명의 조문객만 분향소를 찾아, 결국 1만2천여명의 조문객을 받은뒤 지난 11일 폐쇄됐다. 

시청사 앞 광장에 분향소를 운영했던 양주시도 설치 당시 수백여명에 달했던 조문객이 지난 14일 종료 시점에는 하루 십여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현재 17명의 실종자를 수습하지 못한 상황에 분향소 조기철수는 너무 이른감이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단 1명의 조문객을 위해서라도, 실종자 수색이 마무리될 때까지 분향소를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분향소를 운영하는 시·군의 고충도 이해하지만, 실종자를 다 찾지도 못한 상황에서 설치 한달여만에 조기 폐쇄하는 것은 유가족과 시민들의 마음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한 편의주의의 발로"라며 "벌써부터 희생자들이 잊혀져가고 있는 것 같아 가슴 아프다"고 말했다. 

/김태성·이경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