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왼쪽)와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20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정쟁 국력소모 멈추고 협력 촉구
"보좌진 사퇴·실종자 구조 최선"
새정치 문희상·전해철 의원 공세
20일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긴급현안질문에서 여야는 공동으로 세월호 참사의 수습을 위한 초강력 인적 쇄신을 정부에 촉구했다. 그러면서도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 대한 평가 및 후속 대책 등에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새누리당 신성범 의원은 "내각이 모두 사표를 제출하고 신임 여부를 묻는 게 맞는 절차이며,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청와대 참모진 역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청와대 비서실과 내각의 전면 개편을 강조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 의원도 "김장수 안보실장, 이정현 홍보수석, '라면 장관'을 옹호한 민경욱 대변인을 포함해 임무를 방기한 김기춘 비서실장 등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와 관련해 새누리당 유기준 의원은 "대통령 담화가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이용해 정쟁한다면 쓸모없는 국력 소모이며 국민을 더 힘들게 할 것"이라고 야당의 협조를 구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은 "사고 치면 다 없애기로 한다면 대통령 혼자 남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경기지역 의원 중에는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의정부갑)·전해철(안산상록갑) 의원이 마이크를 잡고 공세에 펼쳤다. 문 의원은 세월호 참사의 정략적 이용에 대해서는 경계하면서도 "내각 총사퇴 뿐만 아니라 청와대 비서실장, 외교안보실장, 국정원장을 비롯한 직할 보좌진의 총사퇴 등 인적쇄신이 반드시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재난안전처를 총리실 산하에 두기로 한 것과 인적 쇄신책이 빠진 점을 문제삼았다. 문 의원은 참여정부의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언급하며 "재원, 인력, 경험 등 능력이 전부 청와대에 다 있기 때문에 위기관리기구는 대통령의 직속기구로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해경을 해체하고 안행부와 해수부를 축소한 것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즉흥적으로 특정 부처를 축소 해체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오늘도 실종자 가족들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기다림과 고통, 분노 속에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면서 "마지막 한 명의 실종자까지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남은 실종자 구조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철저한 진상규명을 토대로 사건의 실체와 책임소재를 분명하게 밝히고 이것을 토대로 대안과 개선책을 마련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함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이와함께 ▲세월호 사고 발생 후 72시간 구조대응조치의 문제점 ▲현장과 중앙정부의 지휘체계 혼선 ▲청와대 안보실 역할과 '국가안전처'의 대통령 직속기구화 제안 ▲사고대책 마련 등에 대해 질문하고 철저한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순기·송수은기자